그린뉴딜, 수열에너지 활성화로 조기안착···올해 공공기관 건축물 수열에너지 시범공급 추진
2022년부터 민간 대형건축물에 수열에너지 공급 확대 예정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비전을 담은 한국판 뉴딜이 발표되면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등 한국판 뉴딜의 정책방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제기반의 친환경‧저탄소 전환 가속화를 목표로 하는 그린 뉴딜은 건축물 에너지 절감 등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어, 건축분야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수열에너지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적용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가 제시되는 등 수열에너지 활성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자료=환경부)
수열에너지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적용을 위한 기술개발 과제가 제시되는 등 수열에너지 활성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자료=환경부)

건축물분야 재생에너지 활용사례로 주목 받고 있는 수열에너지 활성화가 그린뉴딜의 성과로 이어진다는 정부의 인식이 나왔다. 환경부는 수열에너지 산업을 육성해 그린뉴딜을 성공적으로 이끌겠다고 밝혔다. 수열에너지는 광역원수나 해수의 열을 히트펌프(Heat Pump)로 변환시켜 얻어지는 에너지이다. 지난 2019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이하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재생에너지로 인정받았고, 또 하천수 역시 수열에너지에 포함되면서 확장성이 크게 확대됐다.

때문에 환경부는 향후 대형백화점과 데이터 센터, 복합상업시설 등 냉난방 에너지 사용이 크고 수열 적용이 가능한 대상을 적극 발굴해 활용을 유도할 계획이다. 우선 수열에너지 클러스터 조성과 조기안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시범사업으로 효과를 검증하고 확산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올해 공공기관 수열에너지 시범공급 추진에 이어 2022년부터 민간 대형건축물에도 수열에너지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 민간사례인 롯데월드타워는 냉난방 용량의 10%를 수열에너지 설비로 공급 중이고, 이를 통해 연간 냉난방 비용 약 7억 원을 절약하고 있다.

맞춤형 제도개선으로 도시계획 연계사업 강화 등 수열활용 기반도 마련된다. 하천수 사용료 등 물 관련 요금 감면을 위한 하천법 등 제도를 개선하고, 지자체 등과 협의해 도시계획단계부터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수열 관련 주요 기술 개발을 위한 R&D사업도 진행된다. 지난 10일 공고된 수열활용 확대기술 및 환경적합성 기술개발사업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사업은 ▲하천수 수열에너지 통합 설계 플랫폼 구축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적용 ▲수열 적용을 통한 막여과 수처리공정 개선 복합 기술개발 ▲에너지 다소비 시설 적용 심층 저온수 활용 기술개발 등 3개 과제가 진행될 예정이다.

수열에너지의 통합 설계 플랫폼 구축과 제로에너지 건축물 적용 기술개발 과제는 주거용 건물과 호텔,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건물 부하모델과 수요처벌 건물 설계도구를 개발하고, 수열에너지시스템의 국가 제로에너지 건축물도입 평가 설계프로그램 적용방안 마련을 목표로 한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