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건축서비스산업 시장의 중요한 특성은, ‘계획 및 사전설계’에서의 수익이 11%에 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건축서비스산업은 그 자체로서 부가가치 창출 능력이 높은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낮은 설계비, 업종 범위의 모호성, 건설산업과의 관계 등의 문제점으로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또한 공공계약 계약에 있어서도 다른 조달 또는 용역과 다를 바 없이 최저가낙찰제가 적용되는 등 독립된 전문적인 분야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는 달리 미국의 건축서비스산업은 1857년 AIA의 창설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건축서비스산업에 대한 법적 정의와 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전문적인 지식서비스산업으로서 위상을 확고히 만들어 왔다. 결과적으로 공공계약법에서는 건축서비스산업의 특수성을 인식하여 건축서비스산업을 위한 별도의 계약규정을 두고 있을 뿐 아니라 민간부문에서도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지식서비스산업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 건축설계 시장규모의 25%(2010년)이상을 차지할 만큼 전 세계 설계시장에서 비중이 높다.
따라서 건축서비스산업이 지식서비스사업의 하나로서 자리 매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건축서비스산업에 대한 법·제도의 구축으로 인한 진흥이 매우 시급하다. ‘2012대한민국건축사대회’에 대통령후보가 참여한다고 했던가. 대한건축사협회가 형식과 체면에 묻혀 이 좋은 기회를 날리지는 말라! 그리고 총리도 오신다고 하지 않는가? “미국의 건축서비스산업의 역사는 미국건축사협회(AIA)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한다. 대한건축사협회의 계획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