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친환경 인증제에 대한 국내 수요가 늘어나면서 미국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인 LEED(이하 LEED)인증 획득을 위해 외화가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해양위원회 조현룡 의원이 지난 10월 5일 국토해양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미국의 LEED 인증을 받기 위해 개발기관인 미국 그린빌딩협회(U.S.GBC)에 지불한 비용이 최근 3년간 총 1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인증비용 외에도 미국산 친환경 인증 자재 사용 및 별도의 컨설팅 용역이 수반되는 등 건당 1~5억 원이 추가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현룡 의원은 “국내에서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가 시행중이지만, 건축시장에서 저평가되고 있어 단순히 취득세․재산세 감면 등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며“미국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특성에 맞게 개발된 LEED의 평가항목은 국내 실정에 부합되지 못한 부분이 상당부분 있으며,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의 활성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건축계 일부에서는 국내 친환경 인증제의 평가 항목이 전체적으로 LEED의 영향을 받아 적합하지 못하다는 평가와 함께 해당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가 항목의 타당성을 실무자에게 인정받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각 인증기관의 인증절차와 양식 등에서 약간씩의 차이가 있어 대행업체를 제외한 일반 관련 실무자들에겐 혼선이 예상되어, 행정 절차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관은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