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집짓기는
건축사와 삶에 맞는
집을 희망하는 건축주와의
접점 찾기에서 시작

건축사 자격증을 취득 한 후 대부분의 건축사는 개인 사무실을 가지고 싶어 한다. 더불어 개업과 동시에 일이 끊임없이 들어오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일은 고사하고 찾아오는 이 한명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용케 들어오는 일이라고는 주택설계 문의 쯤일 것이다.
역대 대가들의 설계시작이 대부분 주택에서 시작하였고, 추후 걸작의 밑그림이 되었음을 확인해 본다면 주택설계 문의를 함부로 넘길 일은 아니다. 어쩌면 슬그머니 들어온 주택설계 의뢰가 본인들의 건축 작품세계에 어떤 영향력을 미칠지 모른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저가형 주택설계가 가장 홀대 받고 있다.
주택설계가 한 건축사의 미래를 결정할 씨앗과도 같고, 평생 단한번의 집을 설계할 건축주에게도 집안 최대의 중차대한 일임은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주는 주택설계를 어디에 맡길지 끊임없이 찾아다니지만 결국에는 경제성과 용이성 그리고 안전성을 미리 염두에 두고 주변에 손쉽게 지어줄 시공자를 선택하는 일이 허다하다.
개업하고 열정이 충만한 건축사는 이 틈새시장을 충분히 활용해도 좋으련만 건축주와 만날 방법이 없으니 그 또한 쉽지 않다. 건강한 집짓기는 열정이 넘치는 건축사들의 적극적인 자세와 삶에 맞는 집을 희망하는 건축주들의 접점을 찾는 노력으로부터 시작된다. 건축사는 건강한 집짓기를 희망하는 건축주를 위한 홍보의 자리가 필수적이고 건축주의 가려움을 긁을 수 있는 내용이 절대적으로 되어야 한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적극적으로 건축주에게 다가가서 대화형태의 집짓기 이야기 쇼? 집짓기 토크쇼(집톡)는 어떨지? 집톡은 직접적으로 건축주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서로를 조우할 수 있는 자리가 되어야 하며, 여러 명의 건축사들이 서로를 독려하면서 채워나가는 형식을 취할 것이다.
열정이 넘치는 건축사와 건강한 집짓기를 갈망하는 건축주를 더 이상 그대로 둘 순 없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