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국토교통부)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올 6월 기준 주택 인허가, 착공, 준공 실적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6월 주택 인허가는 28,018호이며, 6월 누계(1~6) 인허가는 전년 동기 대비 7.6%(138,456) 감소했다. 수도권과 서울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3.3%(13,792), 35%(3,569)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전년 동월 대비 4.4%(14,226) 감소했다.  

주택 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와 비아파트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6월 아파트 인허가는 전월 대비 42.1%(25,292), 비아파트는 전월 대비 3.6%(2,726)증가했다. 누적 기준의 경우, 아파트와 비아파트 모두 인허가 수가 감소했다. 인허가는 전년 동기 대비 7%(122,304), 비아파트 역시 11.9%(16,152)로 확인됐다.  

주택 착공 실적은 28,871호이며, 6월 누계(1~6) 착공은 전년 동기 대비 18.9%(103,147) 감소했. 주택 착공 실적도 수도권과 서울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수도권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152.1%(2416), 서울은 전년 동기 대비 99.9%(2,079)가 늘었다. 반면, 비수도권은 33%(8,455)가 줄었다. 6월 누계 착공 실적도 수도권과 지방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수도권 착공은 전년 동기 대비 8.1%(65,631), 지방도 전년 동기 대비 32.8%(37,516) 줄었다.  

6월의 경우 아파트 착공은 전월 대비 109.7%(26,197) 증가했지만, 비아파트는 전월 대비 1.5%(2,674) 감소했다. 6월 누계 착공 역시 아파트와 비아파트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아파트는 20.5%(87,398), 비아파트는 9.3%(15,749) 줄었다.  

6월 준공 실적은 4115호이며, 6월 누계(1~6) 준공은 전년 동기 대비 6.4%(205,611) 감소했다. 준공도 수도권과 서울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42.2%(22,121), 196.1% (9,178) 증가했다. 반면, 비수도권은 전년 동월 대비 11.7%(17,994) 감소했다. 6월 누계 역시 수도권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101,044)했지만, 지방은 전년 동기 대비 17.7%(104,567) 감소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