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구 단위 건축물 연면적·인구 결합한 통계 지수 도입
용도별 재고 편차 수치화해 지역 맞춤형 정책 활용 가능
건축공간연구원(AURI)이 6월 24일 ‘건축물 재고지수’를 개발하고 관련 보고서를 발간했다. 재고지수는 시군구별 건축물 현황을 인구 대비 연면적 기준으로 수치화한 것으로, 건축물 수량이 아닌 면적을 활용해 지역 간 상대적인 재고 수준을 나타낸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축물 재고지수는 전국 인구 대비 용도별 건축물 연면적을 기준값 100으로 설정한 뒤, 이를 토대로 각 지역의 상대적인 재고 수준을 산출한 지표다. 분석 대상은 전국 17개 시도와 226개 시군구로, 주거용·상업용·공업용·교육·사회용 등 네 가지 용도별로 나뉜다. 원자료는 건축물대장을 활용했고, 지수 산출 단위는 연면적이다.
건축물 재고지수는 인구 감소와 산업 구조 변화로 인해 건축물 수요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구는 줄고 있지만 기존 건축물은 그대로 남아, 일부 지역에서는 공실 증가, 노후화, 기능 미흡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신축 위주의 공급 정책만으로는 실질적인 대응이 어렵다. 지역별 건축물의 보유 수준과 활용 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맞는 유지관리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계 지표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재고지수가 도입됐다. 본 지수는 시군구별 건축물 현황을 인구 기준으로 수치화해, 지역 맞춤형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실제 지수 결과를 보면, 인구 10만 명당 주거용 연면적이 전국 평균보다 1.5배 많은 강원 평창군은 주거용 건축물 재고지수가 153.4였다. 반면 서울 관악구는 69.5로 나타났다. 인구 규모는 관악구가 크지만, 주민 1인당 주거 면적은 평창군보다 적었다.
상업용 건축물 재고지수는 서울 중구가 727.9로 전국 평균의 7배 수준이었다. 중구는 대형 상업시설이 밀집한 지역으로, 인구 대비 상업시설 비중이 높았다. 공업용 건축물은 충북 음성군이 932.2로 가장 높았다. 음성군은 산업단지가 조성돼 있는 지역이다. 교육 및 사회용 건축물은 서울 종로구가 290.4로 집계됐다.
시도 단위 분석 결과, 서울, 대전, 강원, 제주는 공업용 재고지수가 60 이하로 낮았다. 반면 울산, 충북, 충남, 경북, 경남은 공업용 재고지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나머지 8개 시도(부산, 대구, 인천, 광주, 세종, 경기, 전북, 전남)는 네 가지 용도별 재고지수가 고르게 분포했다.
한편, 연구는 건축물의 물리적 특성만으로는 각 지역의 실제 수요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 기존 통계는 건축물의 용도, 면적, 층수 등을 단순히 집계하는 방식에 머물러, 통계 단위도 시도 수준에 국한돼 시군구별 특성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진은 인구 데이터를 함께 고려해 지역 간 건축물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는 재고지수를 도입, 분석 범위를 시군구 단위까지 확대했다.
건축공간연구원은 향후 보완 과제로 ▲생활인구 ▲지역별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산업구조 변화 등을 반영한 지수 고도화를 제시했다. 또 건축물 용도 구분을 의료, 복지, 문화, 숙박 등으로 세분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의 실질 수요에 맞는 건축정책 수립과 건축물 유지관리 방향 설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