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 대웅전 (사진=김진섭 건축사)
불국사 대웅전 (사진=김진섭 건축사)

불교는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와 더불어 세계 3대 종교 중 하나로서 전 아시아인들의 정신적·사상적·문화적·사회적 삶에 크나큰 영향을 끼쳐왔다. 19세기 후반부터는 유럽에도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불교는 고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artha)라는 한 역사적 인물에 의해 창시되었다. 그는 수행을 통해 '부처'(Buddha 佛陀), 즉 '깨달음을 얻은 자'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고 실천하는 종교이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공식적으로 전래된 것은 4세기말이다. 고구려·백제·신라 삼국 가운데서 불교를 국가발전의 힘으로 삼아 급기야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것은 신라였다.

불국사의 창건과 중건
불국사의 창건에 관한 기록으로 가장 오래된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는 서기 528년(신라 법흥왕 15년)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의 발원(發願)으로 불국사를 창건하여 574년 진흥왕(眞興王)의 어머니인 지소부인(只召夫人)이 절을 크게 중건하면서 비로자나부처님(毘盧遮那佛)과 아미타부처님(阿彌陀佛)을 주조해 봉안했고, 670년(문무왕 10년)에는 무설전(無說殿)을 새로 지어 ‘화엄경(華嚴經)’을 강설(講說)하였으며, 그 후 751년(경덕왕 10년)에 김대성(金大城)에 의하여 크게 개수되면서 탑과 석교 등도 만들었다고 하였다.

다른 기록인, ‘불국사 사적(事蹟)’에는 이보다 앞선 눌지왕(訥祗王) 때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하였고 경덕왕 때 재상(宰相) 김대성에 의하여 크게 3창(祠) 되었다고 했다. 처음에는 소규모로 창립되었던 불국사가 경덕왕 때의 재상 김대성에 의하여 대대적으로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긴 세월 동안 점진적으로 완성된 불국사는 1593년(임진왜란) 왜군에 의해 파괴되어 1604년경부터 복구와 중건이 다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24년 대규모의 개수공사를 실시하여 다보탑의 해체보수, 법당의 중수 등을 실시하였는데 이때 다보탑 속에 있던 사리장치(舍利藏置)가 행방불명되었고 공사 와중에 유물의 완벽한 복원과 보존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일제 문화정책의 전시물로써 수난을 겪었다. 1966년 석가탑의 해체복원 등 부분적 보수가 있었다가 1969년 불국사 복원위원회가 구성되고 1970년 2월 공사에 착수, 1973년 6월 대역사(大役事)를 끝마쳤다.

연화교와 칠보교, 청운교와 백운교의 여름풍경	(사진=김진섭 건축사)
연화교와 칠보교, 청운교와 백운교의 여름풍경 (사진=김진섭 건축사)

불교문화의 걸작
'구름을 마시고 토한다'는 토함산(745m)의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불국사는 찬란한 신라 불교문화의 핵심이다. 대웅전의 동·서측면에는 익랑(翼廊)이 놓여 동·서 회랑과 연결되고 남회랑의 동측 모서리에는 좌경루(左經樓)가 있고, 서측 모서리에는 범영루(泛影樓)가 배치되어 있다. 자하문 남측에는 청운교와 백운교의 석계를 마련하여 대웅전으로 진·출입할 수 있도록 꾸몄다. 이곳은 현생세계를 의미한다. 즉, 사람들은 청운교와 백운교로 올라 현세의 석가모니불에게 간다.

연화교와 칠보교를 오르면 안양문을 통해 아미타여래가 있는 극락전이 나온다. 이곳은 내생세계(극락정토)를 의미한다. 즉, 영가(죽은 사람)들은 연화교 및 칠보교로 올라 내세(극락정토)의 아미타불에게 간다.

불국사 대웅전 전면의 동측에는 다보탑이 배치되어 있고, 서측에는 석가탑이 배치되어 있다. 또, 대웅전 전면에는 팔각을 기본으로 한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다보탑(국보 20호)은 목조 건축의 복잡한 구조를 석조화 한 뛰어난 작품으로,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사각형 모양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지만 팔각 형태를 조화롭게 반복시킨 것도 주목이 된다.

비로전(毘盧殿)에 모신 금동비로자나불좌상(金銅毘盧遮那佛坐像)과 극락전에 모신 금동아미타여래좌상(金銅阿彌陀如來坐像)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유산도 당시의 찬란했던 불교문화를 되새기게 한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95년 12월에 석굴암과 함께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출처 : 불국사 누리집
주차장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산 70-1번지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