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지역 관리 강화 및 AI 기반 기술 도입

국토교통부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적용될 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30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대규모 땅꺼짐 사고 등 지하안전사고 예방을 목표로 디지털 기반 지하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정부는 2018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시행하고, 2020년부터 1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을 통해 지하안전평가제도 도입 및 주기적 안전점검 체계를 마련했다. 그러나 지반침하 고위험지역 관리 미흡, 지자체의 전문성과 인력, 예산 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속 지적됐다.

새로운 기본계획은 예측·예방 중심의 관리체계 전환 현장수용성 강화 스마트 기술 도입을 목표로 한다.

예측·예방 중심의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고위험지역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안전점검 주기를 연 2회로 단축한다. 지자체 지원 확대를 위해 국토안전관리원의 공동조사 범위를 연간 4,200km로 늘려 2029년까지 총 2km를 탐사할 계획이다. 관리계획 수립 지침을 개발·보급하며, 지자체 관리계획의 상급기관 협의 및 이행 실적 점검도 강화한다.

현장수용성 강화를 위해 지자체 관리계획에 조직, 인력, 역할을 반영하고 정부업무평가에 이를 포함한다. 동일 지역 내 다종 시설물 점검·복구비용 분담 기준을 마련하고 관계 부처 및 시설물 관리자 간 소통체계를 구축한다. 담당자 교육훈련과 자격관리도 강화된다.

기술 고도화를 위해 4년간 80억 원을 투자해 인공지능(AI) 기반 탐사·분석 기술을 개발한다. 고위험지역 실시간 관리 및 경보 체계를 도입해 사고 대응 역량을 높인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