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 안정성, 지속성, 역사성 등 10개 조문 마련

서울시 건축정책위원회 활동 강화
건축심의 기준 반영 등 추진
서울시는 시대가 변해도 바뀌지 않을 서울 건축의 기본원칙을 천명했다.
서울시는 지난 8월 20일 서울시 신청사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승효상 서울시 건축정책위원장을 비롯해 김영수 대한건축사협회 회장, 이광만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서치호 대한건축학회 회장 등 건축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건축선언’을 선포했다.
이날 선언에선 박원순 시장이 선언문 전문을 낭독하고, 승효상 위원장이 선언 정신을 구현할 세부 조문을 10가지를 설명했다. 1개 전문, 10개 조문으로 이뤄진 ‘서울건축선언’에는 서울이 가진 역사, 생태, 민주적인 정체성은 물론 세계 도시로서의 가치와 함께 그동안의 서울 건축에 반성을 담고 있다. 지난날 ‘경제 발전과 양적 성장’이라는 프레임에 갇혀 주변과 단절되고 무미건조한 건축물을 짓던 방식을 반성함과 동시에 현 시대가 요구하는 △공공성 △공동성 △안전성 △지속성 △자생력 △역사성 △보편성 △창의성 △협력성 △거버넌스 등 세부가치 및 실천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시는 ‘서울건축선언’을 통해 건축정책위원회 활동 강화, 건축심의 기준 반영, 공공건축가 운영 활성화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공공건축에 이를 적용하기 위해 서울의 건축 관련 정책을 자문 및 심의하는 건축정책위원회의 활동을 강화하고, 공공건축가의 적극적인 설계 및 자문참여 등 운영 활성화를 추진한다. 특히 민간건축은 시민들의 의식변화와 적극적인 참여가 핵심인 만큼 ‘좋은 건축은 결국 좋은 건축주가 만든다’는 공감 아래 적극적인 홍보도 펼칠 계획인데, 그 일환으로 ‘건축학교 운영’ 등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승효상 위원장은 “건축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건축이 무엇이고, 누가 설계하는지 아직은 잘 모른다. 이번 서울건축선언을 통해 시민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건축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시는 대한건축사협회를 비롯한 건축단체들과 공공건축가 등 건축 관계자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해 건축정책 방향 정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모든 공공건축물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총괄건축가 제도 도입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7월부터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앞서 시는 턴키발주 금지, 공공건축 발주제도 개선, 공공건축가 제도 도입 등을 추진한 바 있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의 모든 건축은 시민 전체가 공유하는 자산이며 건축으로 이루어진 도시환경은 후손들의 행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유산”이라며, “건축물 자체만으로도 도시와 시대정신이 담기고 나아가 관광 상품이 되는 유럽의 도시건물들처럼 서울의 정체성이 담긴 건축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서울시의 이러한 정책이 과거 오세훈 시장 같이 ‘시장 입맛에 맞게 추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과거 오시장의 디자인정책에 따라 추진된 사업이 무용지물로 전락, 혈세 낭비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박시장은 “시장의 바뀔 때마다 추진되는 정책이 되지 않도록 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것이며, 여러 가지 제도적인 장치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건축선언에 앞서 ‘서울건축포럼 창립‘이 서울시 신청사 3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서울건축포럼은 서울시 건축정책위원회, 공공건축가 등으로 구성된 건축전문가그룹으로, 서울시 건축문화 발전을 위해 건축정책 관련 연구․개발․정책제안 등은 물론 건축을 문화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의식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각종 세미나를 비롯해 출판․전시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① 서울의 모든 건축은 시민들 모두가 누리는 공공자산입니다.(공공성)
② 건축은 도시 속에 더불어 존재합니다.(공동성)
③ 건축은 우리 삶을 지속케 하는 가장 중요한 거처입니다.(안전성)
④ 건축은 우리의 후손이 다시 사용하는 자원입니다.(지속성)
⑤ 건축은 스스로가 삶의 이야기입니다.(자생력)
⑥ 건축은 지난 삶을 저장하여 기억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현장입니다.(역사성)
⑦ 건축은 누구나 향유할 수 있어야 하는 문화적 바탕입니다.(보편성)
⑧ 건축은 시대가 빚는 창조적 산물입니다.(창의성)
⑨ 건축은 여러 주체들의 협력으로 완성되는 공동의 생산물입니다.(협력성)
⑩ 건축은 결국 그 시민과 사회의 얼굴입니다.(거버넌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