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교통 등 다양한 분야 데이터 연계 가능
지역 및 기관 간 데이터 상호 연계성 향상
도시 교통량, 열섬 현상 등 종합 분석 가능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를 보다 쉽게 연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16종의 새로운 국가표준을 마련해 1031일 고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표준은 건물, 교통 등 다양한 분야 데이터를 연계해 별도의 변환 없이 서로 다른 지역 및 기관 간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트윈국토는 현실 세계를 디지털로 모사하고 가상화 기술을 통해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국가 위치기반 정보체계다. 이번 표준은 실내공간, 지하공간, 지형모형, 교통 분야의 데이터 모델과 품질, 메타데이터, 제품 사양을 포함하고 있어, 정보의 연계성과 활용성을 크게 높일 전망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개념(자료=국토교통부)
디지털 트윈국토 개념(자료=국토교통부)
디지털 트윈국토 구성요소(자료=국토교통부)
디지털 트윈국토 구성요소(자료=국토교통부)

박건수 국토정보정책관은 이번 표준 제정으로 디지털 기반의 미래형 국토 구축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앞으로도 공간정보 연계 활용을 위한 표준을 지속 발굴·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