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에너지사용량 법적 신고 의무 없는 900여 개의 민간건물 동참 ‘고무적’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민간건물 에너지사용량 등급을 공개했다. 이번에 에너지사용량 등급이 공개된 건물은 자발적으로 에너지사용량 신고제에 참여한 서울시내 민간건물을 포함, 공공기관 소유 건물 2,042개소(민간 933개, 공공기관소유 1,109개)이다.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는 건축물 소유주가 건물 에너지사용량을 신고하면 사용량에 따라 용도별·규모별 A~E 5개 등급으로 분류, 자가 진단하는 제도다.
공개된 건물들의 에너지사용량에 따르면 참여 건물 88.9%가 에너지사용량 A~C 등급으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정부(산업통상자원부)가 목표로 하는 B등급이 44.8%로 가장 많았다.
지난 4월 중대형 비주거 건물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는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우선 시행한 후 민간건물도 자율신고제로 운영하고 있다.
신고대상은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 공공건물 ▲연면적 3,000제곱미터 이상 민간·비주거 건물로, 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건물에 ‘저탄소 건물 선정패’를 수여하게 된다.
이번에 참여한 건물들을 용도별로 살펴보면 교육연구시설이 43.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업무시설(24%), 근린생활시설(6.5%)이었다. 공개를 동의한 건물 목록과 등급은 저탄소건물지원센터 누리집(ecobuilding.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에너지사용량이 높은 D~E등급 건물 중 300개소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함께 에너지효율을 높이기 위한 무료 컨설팅과 무이자 융자 상담을 연결·제공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