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의 미래가 지속가능한 이유는?

이동흡 교수(사진=이동흡 교수)
이동흡 교수(사진=이동흡 교수)

건축산업에서 에너지 수요가 국가의 전반적인 GDP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므로, 기후 시스템의 잠재적 위협인 무기질 기반 건설자재의 탄소배출 생산을 회피하고 탄소를 대량으로 장기 저장하는 시스템으로 방향 전환하기 위해 목조건축을 활용하자는 취지의 원고를 게재하고 있다. 건설의 미래가 목재+건축의 연계를 긴밀하게 다지면서 차제에 탄소중립+경제성장+삶의 질을 동시에 달성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고, 이는 숲+목재+건축의 역할을 극대화함으로 얻어지는 지구환경에 대한 가치 × 시장경제에 대한 가치 × 사람과 사회에 대한 가치로 승화시키자는 내용이었다.

핵심은 지속 가능 범위에서 기존 건축재를 목재로 대체해 건물 부문의 내재탄소(embodied carbon)1)를 감축함과 동시에, 국내의 탄소 저장 용량을 확장하는 목재와 건축이 만나 이루는 탄소중립의 시너지 효과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s)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 그 수단으로써 건물 부문에서 실질적인 국내 탄소 저장량을 늘리기 위하여 목조건축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며, 화석연료 의존적 사회구조를 탈피할 탄소중립·녹색성장의 새로운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자료=이동흡 교수)
(자료=이동흡 교수)

건축은 항상 수백만 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중요한 사회 기반 시설을 가능하게 하며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산업을 유지하게 해주는 거대한 산업이다. 향후 10년 이내에 제조업을 넘어서 전 세계 GDP의 1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한다. 산업 규모로 따졌을 때, 우리가 땅에서 수확하는 원료의 약 50%가 건물에 들어가고, 배출 폐기물의 3분의 1을 생산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40%를 발생하며, 에너지 사용량의 무려 36%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실로 엄청나다. 

다행스럽게도 오늘날 기후 위기가 점점 심각해지면서 그 흐름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각국의 정부와 기업은 친환경적인 미래를 만들기 위하여 건설산업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분위기가 주로 건물 운영탄소에 포커스를 두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실질적 추세는 내재탄소를 줄이는 것을 중시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분위기에 편승하도록 정책 방향을 내재탄소 중심으로 선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건물 부문 내재탄소의 약 80%가 구조재에서 나온다.2) 건축재료로써 콘크리트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다용도이며 가연성 및 내후성이 뛰어난 재료이다. 그러나 시멘트(궁극적으로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야 한다. 시멘트 산업은 매년 28억 미터톤의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며 전 세계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의 8%를 차지한다.3) 콘크리트 건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강철까지 포함하면 전 세계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의 약 15%가 콘크리트 건물에서 배출된다.4) 건물에서 배출량 순 제로(net zero)를 달성하지 못한 내재탄소는 결국 잉여 배출 잔량으로 남기 때문에 탄소 빚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목조건축은 잉여 내재탄소의 부채를 갚을 수 있다. 목재는 질량의 50%가 탄소로 목재에 내재하기 때문에 사용하면서 내재탄소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지불이 필요하지 않거나 선불 결재를 마친 재료다. 워싱턴대학의 탄소 리더십 포럼에서는 목재와 같은 저탄소 재료를 더 많이 사용함으로써 2-3년 내에 내재탄소 60%를 줄일 수 있다고 했다.5) 따라서 「숲」+「목재」+「건축」 분야가 합심해서 탄소중립에 공헌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중차대한 과제의 해결 방안으로 ‘목조건축의 활성화 법률’이 요구된다. 


1) 지금까지 체화탄소로 표현했던 것을 다른 분야와 용어 통일을 위해 추후 내재탄소로 수정함
2) https://americas.uli.org/wp-content/uploads/ULI-Documents/Greenprint-Embodied-Carbon-Report_FINAL.pdf
3) PBL Netherlands Environmental Assessment Agency and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Trends in Global CO2 Emissions, 2016 Report (The Hague, PBL Publishers, 2016), p.64.
4) Is Concrete Destroying Our Planet? https://www.youtube.com/watch?v=UmnFTffYM3w
5) https://carbonleadershipforum.org/exploring-potential-carbon-storing-materials/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