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공모 결과뿐 아니라 과정에 집중, 건축사들의 질문과 고민 담아

건축 설계공모 기록원 스코어러가 설계공모의 과정을 조명하는 단행본 ‘commentary’(자료=스코어러)
건축 설계공모 기록원 스코어러가 설계공모의 과정을 조명하는 단행본 ‘commentary’(자료=스코어러)

건축 설계공모 기록원 스코어러가 설계공모의 과정을 조명하는 단행본 <commentary>를 출간했다. 이 책은 설계공모의 결과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안을 만들어내는 많은 건축사들의 질문과 고민을 담았다.

<commentary>
20232/3분기 스코어러에 등록된 500여 개의 설계공모 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일곱 건의 당선작과 입상작, 그리고 심사 과정에 대한 심사위원 인터뷰를 수록하고 있다. 영주수도사업소(심사위원: 조준배 유진도시건축연구소, 이승환 건축사·.아이디알 건축사사무소), 국립진주박물관이전(심사위원: 이민아 건축사·건축사사무소 협동원, 이정훈 건축사·.조호 건축사사무소), 단산면행정복지센터(심사위원: 이은경 건축사·이엠에이 건축사사무소., 정이삭·에이코랩 건축사사무소), 휴천1동행정복지센터(심사위원: 김효영 건축사·김효영 건축사사무소, 이기철 건축사·.아키텍케이 건축사사무소), 문경시아동청소년어울림센터(심사위원: 유종수 건축사·.코어 건축사사무소, 최연웅 건축사·.아파랏체 건축사사무소), 시립화성실버드림센터(심사위원: 이소진 건축사·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 리옹, 조경찬·터미널 7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의성성냥공장리모델링(심사위원: 김정임 건축사·.서로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신민재 건축사·.에이엔엘 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 등이 포함됐다.


기존 출판물과 달리 <commentary>는 스코어러의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을 통해 설계공모를 선정하고, 심사 당시 평가됐던 제출안을 그대로 게재했다. 이를 통해 간략한 평가사유서 이면의 고민들을 담아내고자 했다.

스코어러는 유저들의 관심도를 반영해 다양한 지표를 기준으로 설계공모를 분류하고, 심사 과정과 표결 내역을 분석해 당선작과 가장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는 입상작을 선별했다. 또한, 심사평을 남긴 심사위원들의 인터뷰를 통해 설계공모 운영 상의 구조적 문제들까지 다뤘다. 오는 619일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펀딩을 진행한다.

정평진 스코어러 대표는 이번 출간된 <commentary>가 공공의 장소를 설계할 건축사들에게 작은 디딤돌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펀딩 페이지 바로가기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