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태 건축사·원일레븐건축사사무소
김기태 건축사·원일레븐건축사사무소

건축사 자격을 취득한 뒤, 호기롭게 사무소를 개소했다. 개소 축하 인사를 받고 나니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 할지 현실적인 고민이 뒤따랐다. 멋진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는 달리, 이제 막 사무소를 개소한 건축사에게는 기회 가 곧바로 찾아오지 않았다. 기회를 만들기 위해 사무소 홍보와 더불어 나라장터를 통한 입찰과 설계 공모를 진행했다. 크고 작은 공공 및 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포트폴리오를 쌓으며, 다수의 현상설계 공모에도 참여했다. 당선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몇 차례 입상하면서 조금씩 당선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1~2년 사이에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설계 공모의 경쟁률이 이전보다 몇 배나 높아졌다. 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일도 마찬가지로 어려워졌다. 기존의 업무 범위뿐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일을 진행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그래서 건축 기획, 타당성 조사, 마을 만들기 사업, 취약 지역 개조 사업 등 생소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건축 기획과 타당성 조사는 건축 설계 프로젝트 발주 전에 사업의 타당성, 규모 검토, 적정 사업비 확보 등을 위해 반드시 수반되는 중요한 업무이다. 건축사라면 한 번쯤 신축 및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터무니없는 사업 비에 당황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공공 건축물을 계획하면서 산출된 공사비를 줄여본 적도 있을 것이다. 건축 기획은 이러한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적정 공사비를 산출하고, 프로젝트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해 대비하 는 업무이다. 적정 공사비가 확보되면, 이후 건축사는 공사비 내에서 자유롭게 기획 및 시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공공건축의 품질 향상으로도 이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사전 검토, 공공건축 심의를 통해 보완하여 건축 기획이 잘 준비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마을 만들기 사업, 취약 지역 개조 사업 등은 지방의 작은 마을에 필요한 시설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해 노후 주거지를 개선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취지는 지역 랜드마크를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고령의 거주자들을 위한 노후 주택 개선이다. 디자인에 대한 고민보다 우선한 것은 현재의 건축물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50년 이상 된 주택 수십 채를 일일이 다니며 어르신들을 만나 상담을 통해 작업을 진행했다. 생각보다 까다로운 일이었지만, 그 속에서 또 다른 보람을 느꼈다.

건축사의 능력은 생각보다 다양한 업무에서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생소한 진행 과정 속에서 나름의 노하우를 얻었다. 경험이 쌓이다 보면 선택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폭도 넓어지고, 건축사로서의 개인 능력도 다재다능해질 것이라 믿는다.

한정된 경계 안에서 일을 기다리기 보다 적극적으로 일을 찾아나서야 할 시기다. 어려운 시기 속에서도 다양한 기회 속에서 가치를 찾는 건축사가 되길 바란다. 모든 건축사에게 응원을 보낸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