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에너지 저감 정책에는 재료, 제조 및 프로세스와 관련된 체화 탄소가 포함되어야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의존이 지구 온난화를 부추기고 있다. 기후 변화의 영향이 건물의 성능과 에너지 소비에 대한 규제로 이어지고 있다. 건물 및 건축물의 에너지 관련 배출량 규제는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결정기여금(NDCs)에 영향을 미치며, 건물의 에너지 효율과 에너지 코드는 모든 NDCs 내에서 두 번째로 많이 인용되는 조치이다.1)
전 세계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39%는 건물 및 건설 부문에 사용되는 자재에서 비롯되며, 그중에서 11%는 건축자재의 탄소발자국 때문에 발생한다.
세계 주요 자원 전망에서는 전 세계 건축 및 건설 자재 사용은 2060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를 예상2)하면서 건축 환경을 탄소 늪으로 더 깊숙이 빠져들게 하고 있다. 건물의 탄소배출과 에너지 효율에 관한 정책과 코드를 채택하는 국가는 2015년 파리협정 이후 늘어나고 있다.
이미 건물의 NDCs를 적용하는 국가가 90개국에서 136개국으로 증가했으며 80개국에서 건물 코드를 새로 개발하고 건축 에너지 강령으로 채택하고 있다.3) 이는 건물 에너지 효율에 대한 투자로 이어지며, 그 투자율이 62개국에서 이미 40%가량 증가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국토교통부가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주택 건설기준」개정안을 4월 12일부터 5월 2일까지 행정예고4) 중에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번 개정안의 내용은 건물을 가동하는 에너지, 즉 운영 탄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당장 건축 분야는 비용과 내구성 모두에서 강철이나 콘크리트 같은 재료와 비교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 나서야 한다. 목재과학기술협회는 전과정 평가에서 콘크리트와 강철로 건축된 건물에 비해 매스팀버는 지구 온난화 영향이 18% 감소한다고 했다. 특히 매스팀버는 자연 재생성, 내구성 및 다양성이 있고 탄소 배출량도 적다. 실제로 강철 및 콘크리트보다 매스팀버는 내화성도 높다. 강철은 최대 화씨 700도(371℃)의 온도까지 강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CLT는 화씨 1800도(542℃)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5)
생산과정에서도 강철과 콘크리트보다 물과 에너지를 덜 사용한다. 더욱이 제작과정에서 탄소배출을 줄여주는 매우 깨끗한 구조이다. 여기에 강철과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패널, 보, 기둥과 같은 구조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국제적으로 매스팀버는 기후 위기 대응의 필수 수단이 되면서 이에 필요한 인센티브와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6)
무엇보다 건물 부문은 체화 탄소를 줄이기 위해서 목조건축에 우선권을 주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는 2021년 세계 매스팀버 건설 시장 규모는 8억5,710만 달러(약 1조1,800억 원)였으며, 2031년에는 15억 달러(약 2조 617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7) 또 글로벌 건물 및 건설 연합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목조건축을 탄소중립의 선두에 세우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제를 꾸준히 업링크하고 있다.
탄소 저장에 최고 수단은 목조건축이다. 목조건축이 활성화되려면 건물 부문에서 체화 탄소의 도입이 필요하고, 체화 탄소는 장기적으로 탄소 흡수량을 끌어 올리고 저장량을 늘리기 위한 필수사항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기반을 다지는 “목재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절실하며, 탄소 감축량을 탄소 배출권으로 전환한 ‘탄소중립 포인트’를 건물 부문에 부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가까운 미래에 개인과 개인, 개인과 업체 등이 탄소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는 제도를 건축사들과 함께 꿈꾸고 싶다.
1) UNFCCC 2021. Share of Parties referring to the frequency indicated mitigation options in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9). Global Material Resources Outlook to 2060. Paris. https://doi.org/10.1787/9789264307452-en.
3) UNFCCC 2021; Buildings-GSR 2021; IEA 2021a.
4)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9640
5) https://www.youtube.com/watch?v=tlP_SJNm3rs&t=36s
6) 2021 Global Status Report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Towards a zero-emissions, efficient and resilient buildings and construction sector https://globalabc.org/sites/default/files/2021-10/GABC_Buildings-GSR-2021_BOOK.pdf
7) https://www.weforum.org/agenda/2023/10/5-startups-mass-timber-construction-upli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