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철거된 좌우 성곽도 복원

▲ 5년만에 복원된 숭례문 전경

지난 2008년 화재로 소실된 ‘숭례문’이 5년 만에 국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지난 4월 29일 5년 3개월에 걸친 숭례문 복구 사업을 완료하고 이를 기념하는 ‘숭례문 복구 기념식’을 5월 4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08년 2월 방화로 손실된 숭례문은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등 최고의 장인 수십여 명이 참여해 복구했다. 전통기법과 재료로 복구하기 위해 다양한 고증과 연구조사를 수행되기도 했다. 기와는 직접 손으로 만들어 전통기왓가마에서 구웠고, 단청안료도 기존에 썼던 인공안료 대신 천연안료를 사용했다고 문화재청을 밝혔다. 이와 함께 한국전쟁 때 피해를 보아 임시로 복구했던 현판도 조선시대 탁본을 구해 원래 필체의 모습을 되찾았으며, 일제에 의해 철거된 좌우 성곽도 복원됐다.

숭례문은 ‘국보1호’라는 상징적인 의미로 많은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복원 사업이 진행됐다. 국민들로부터 기증받은 소나무로 복구에 필요한 목재를 확보했으며, 국내·외에서 7억 원이 넘는 국민성금이 모금되어 공사에 필요한 자재들을 구매하기도 했다.

숭례문 화재 이후 문화재 관리 강화돼

5년 만에 되살린 숭례문은 화재 당시 허술한 문화재 관리로 인해 벌어진 것으로 경찰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시 경찰은 문화재청, 소방당국, 중구청 등 유관기관의 느슨하고 부실한 관리가 빚은 인재로 결론짓고, 중구청 공무원 3명을 불구속 입건하고 관련 기관 10명에 대해 징계조치했다. 사건의 규모에 비해 솜방망이 처벌이란 논란도 있었다. 숭례문 복원식에 참석한 한 시민은 “600년 문화재가 잿더미가 되어 이제는 보호가 아닌 복원을 통해 숭례문을 볼 수밖에 없다. 이런 생각을 하면, 관계자에게 보다 엄중한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고 밝혔다.

숭례문 화재사건으로 눈에 띄게 변한 것이 지자체들의 대응이다. 각 지자체들은 관내 문화재 보호차원에서 일선 소방서와 함께 정기적으로 방재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CCTV설치와 관리자 보강 등을 통해 문화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여기에는 문화재 소실 시 지자체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기 때문인 이유도 있다. 그러나 관련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특정 문화재만 보호하고 다소 중요도가 떨어지는 문화재 관리는 소홀하다”고 밝히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문화재청이 200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문화재지킴이’도 문화재 관리에 한 몫을 하고 있다. ‘문화재지킴’이란 개인·가족·단체가 문화재와 1:1 결연을 맺어 자발적 문화재 보호활동을 하는 자로 문화재청에서 위촉하고 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문화재는 한 국가의 국격이고, 그 나라 국민의 자긍심이다. 다른 정책은 추진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보정할 기회도 있지만 문화재의 경우는 한번 훼손이 되면 그 가치를 온전히 복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사전예방을 위한 관리체계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힌바 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