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안전관리원, 매뉴얼에 ①항목별 작성 방법·사례 ②자가점검표 ③표준서식 수록

해체계획서 매뉴얼 및 표준서식 표지(사진=국토안전관리원)
해체계획서 매뉴얼 및 표준서식 표지(사진=국토안전관리원)

건축물 노후화에 따라 도심재개발 과정에서 해체공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해체공사는 붕괴와 넘어짐 등의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에 비산먼지와 소음, 진동 등 인접 건물과 거주자에게도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2020년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관리법이 시행된 후 해체공사는 해체계획서를 작성·검토해 체계적인 공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제도가 개편된 바 있다. 하지만 해체공사 매뉴얼 부재로 인해 관계자들의 업무 혼선이 발생하고 사고 위험 방지를 위해서 원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지난해 8월 개정된 건축물관리법의 내용을 알리고 건축물 해체계획서 관련 업무 담당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매뉴얼 및 표준서석’을 개정해 배포한다고 밝혔다.

개정 법 내용을 포함한 새 매뉴얼은 해체계획서 작성에 도움이 되도록 항목별 작성 방법·사례, 자가점검표, 표준서식 등 해체계획서 수립과 관련한 실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꾸며졌다.

일반적으로 해체공사의 업무순서는 사전조사, 현장조사, 해체공법 선정, 해체계획서 작성, 구조안정성 검토(필요시), 작성자 또는 검토자 서명날인, 허가기관 제출, 감리자 지정, 해체공사 수행, 완료보고서 제출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감리자는 해체계획서 및 해체공사 감리 매뉴얼에 따라 당해 공사가 설계도서와 기타 관계서류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공정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등에 대해 지도·감독한다.

관리원은 매뉴얼과 표준서식을 각 지자체에 책자로 배포하고, 일반 국민들도 쉽게 열람 또는 내려받기를 할 수 있도록 관리원 누리집(www.kalis.or.kr) 기술자료실과 ‘건축물관리지원센터’ 누리집(www.kbmsc.or.kr)에도 파일로 게시했다.

내려받기 URL은 다음과 같다. ① 국토안전관리원 https://bit.ly/3k6CPaa ② 건축물관리지원센터 https://bit.ly/3ICcoTV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