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건축은 우리 사회에 아주 밀접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건물 몇 개 만드는 개념이 아닌 성장의 발판과 삶의 다양한 만족감을 높이는 장치 이상의 개념으로 구현되고 만들어진다.
때문에 20세기 기능 중심과 사용자 필요에 의해 반응하는 수동적 입장을 떠나 보다 능동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리드해야 할 상황이 됐다. 건축사가 건축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이유다.
사회 변화에 따라 정치적 이슈로 리드하는 정치인들이나 행정가들은 보통 현상에 대한 후속 조치 개념으로 대안을 제시한다. 도시·건축에 대한 다양한 사례·현실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인데, 정치인들이 내세우는 구호 속 건축과 도시를 보면 이미 오래전 언급된 것들이 상당하다. 어떤 것들은 진부함을 넘어 실패한 경우까지 정치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우기도 한다.
건축하는 입장에서 이런 현상들을 보면, 안타까움을 넘어서 한숨이 나올 지경이다. 그렇다면 이런 한계를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아니다. 건축사들, 더 나아가 의무가입으로 확장성을 가지게 된 대한건축사협회는 더욱 능동적으로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발언을 해야 한다.
당장 현 정부의 난제인 재건축만 하더라도 다양한 대안이 건축계에서 나와야 하고, 건축사들이 토론에 뛰어들어야 한다. 재건축은 단순히 낡은 아파트 헐고 새 아파트를 짓는, 건설 행위가 아니다. 현재 논란이 되는 1기 신도시 재건축을 생각하면 더더욱 건축계가 정치권이나 행정부 간의 논의에서 제3자로 빠져 무력감만 토로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예를 들어 신도시 재건축의 경우 재건축 대상 범위를 어떻게 할 것이며, 150~200% 가까이 되어 있는 현재 용적률 상향 문제, 재건축 단지별 순서, 공사 과정 동안 이주 공간에 대한 대책 문제 등 직간접적인 건축 관련 난제들에 대한 해법을 정교하게 제시해야 한다. 더불어 신도시 재건축 방향을 현재처럼 단순 기능의 도시로 재구성할 것인지, 4차 산업혁명 시대 변화에 맞춘 새로운 도시로 재구성할지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통해 미래의 비전을 생각해볼 수 있다.
문제를 풀고 대안을 제시할 건축사들이 보폭을 넓혀 직접적으로 행정가와 정치가의 역할을 하는 것도 우리 사회에서 해야 할 전문가의 책무라고도 볼 수 있다. 바로 직접 선거에 후보로 진출해서 선출직 수장이 되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회에 폭넓게 참여하기 위한 바탕을 대한건축사협회가 만들어 주기를 바란다. 의무가입 체제의 대한건축사협회가 개인으로서 건축사들을 위한 협회이기도 하지만, 이제는 대한민국 건축을 대표하고 이끌어가는 존재이기에 그러하다. 우리나라 건축정책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는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 기자명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 입력 2022.06.07 11:12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