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단체연합(FIKA), 인수위에 용산 발전·청와대 활용방안 정책제안
“용산 발전 통합계획 마련, 새 대통령 집무실 건축 필요하다”
“기존 청와대 조선·근현대사 보고(寶庫), 현대적 가치로 재창조해
역사·문화·녹지공간으로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한국건축단체연합(FIKA)이 4월 21일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 결과를 종합해 ①용산발전 통합계획 마련과 새로운 대통령 집무실 건축 ②청와대를 역사·문화·녹지공간으로 재창조하는 내용의 정책제안서를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했다.
대통령실 이전을 계기로 서울의 중심인 용산지역 재구조화를 추진하고, 기존 청와대는 상징성·역사성을 고려해 역사·문화·녹지공간으로 새롭게 꾸미는 작업을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새로운 대통령 집무실 건축계획을 포함한 용산지역 재구조화 통합계획 마련 ▲‘서촌-청와대-북촌을 연결하는 한옥문화벨트 지구단위계획 수립’ 역시 필요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대통령실 이전 추진이 한창인 가운데, 대한건축사협회를 포함한 한국건축단체연합(대한건축사협회, 한국건축가협회, 대한건축학회)은 건축·도시계획 관점에서 용산지역 발전방안과 기존 청와대 활용방안에 관한 심도 깊은 토론을 펼쳤다.
제안서는 대통령실 용산 이전을 계기로 ‘제2의 한강의 기적을 일궈야 한다’는 대명제를 내세웠다. 용산을 국가상징축의 거점이자 서울의 새로운 중심, 나아가 대한민국의 랜드마크로서 거듭나도록 서울시 공간구조 재편 필요성이 강조됐다. 대통령실이 미래 국정에 대한 철학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공간적 가치를 반드시 담아내야 하고, 향후 국민이 소통하는 일상 생활공간으로서 장소성을 가져야 한다는 뜻에서다.
서울 중심에 위치한 용산지역은 풍수지리적으로 남산을 등지고 한강을 내려다보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형세를 가진 곳이었지만, 지난 100년간 외국 군대 주둔에 따라 강북과 동서가 단절됐다.
때문에 광화문-서울시청-대통령실-여의도-국립현충원-과천으로 이어지는 서울시 공간구조 재편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어 왔다.
제안서에는 기존 청와대는 상징성과 문화성·역사성·장소성 등을 감안해 개방구역(Free Zone)과 고유구역(Fade Zone)으로 공간계획을 수립하고, 관저 등은 국빈을 위한 숙소로 활용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국건축단체연합 관계자는 “대통령실이 이전하면 서울시 용산개발 구상과 시너지가 가능할 것이며, 기존 청와대는 전통건축 방식이 적용된 국빈·국가수반이 사용했던 국가유산임을 감안해 체계적 관리, 개방계획 마련이 동시에 필요하다”며 “다만 공간적으로는 미래 세대를 위한 공간·여가를 위한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