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만으로 이해 어려운 내용 그림으로 도식화
해석 혼란 줄이고, 공공디자인 적용 효율성·일관성 제고 목적
서울에 시설안내표지판과 도로, 버스정류장 등을 설치할 때 적용하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이 그림으로 개발됐다. 텍스트만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그림으로 도식화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것이다.
서울시는 97가지 공공디자인의 일러스트 가이드라인을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만들어 배포한다고 3월 8일 밝혔다.
개별 시설물의 디자인 방향과 내용, 정량적 수치를 도식화해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위치한 도시 구조도 함께 그려 공공시설물의 위치, 용도, 기능 등 도시 맥락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했다. 가이드라인을 제대로 적용했는지 항목별로 확인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도 함께 만들었다.
공공디자인 일러스트 가이드라인 개발에 참여한 최성호 한양사이버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는 “도시디자인 관련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를 모두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구현한 것은 세계 최초 사례”라며 “서울이 가진 도시맥락과 상황을 가상의 장면들로 구현하고, 공공디자인 심의에 필요한 정량수치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일러스트 가이드라인을 이용해 행정기관 또는 공공디자인 사업자가 공공디자인 사업의 기획·설계부터 현장 적용·구현까지 사업의 전 과정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시의 공공디자인 정책 방향성을 담은 일러스트 가이드라인이 확산·적용돼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자료와 프로그램을 추가 개발할 예정이다. 전문 교육기관·서울공공디자인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들을 수 있게 한다.
서울시가 일러스트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공공디자인은 총 4개 분야 97개 항목이다. 4개 분야는 공공건축물을 포함한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공공시각매체 ▲공공디자인사업이다.
공공디자인 체크리스트는 각 항목별로 디자인의 기본방향, 지형, 배치, 형태, 재료, 색채, 그래픽 요소 등 감리·검토에 필수적인 사항을 반영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넣었다. 항목별로 더 구체적인 사항을 알고 싶을 땐 법령(법규), 매뉴얼 등을 찾아볼 수 있도록 참고자료 목록도 함께 안내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관계기관(부서)와 자치구 등에 책자로 배포될 예정이고, 서울시 홈페이지 내 전자책에서 누구나 무료로 내려받기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