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부터 주요 시·도건축사회 심층 인터뷰 진행

건축사회관 전경
건축사회관 전경

건축사법 개정을 통해 ‘의무가입 법제화’를 추진 중인 대한건축사협회(이하 협회)가 연구용역을 통해 조직진단과 효율화 방안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의무가입 이후 협회의 중장기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건축사 의무가입 시대’ 협회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비전 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협회는 지난 8월 ‘대한건축사협회 조직진단 및 효율화 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5월 20일 연구용역 공고를 낸 후 한국생산성본부와 연구용역을 진행하기로 한 협회가 실행·운영전략 등에 대한 초안 마련에 대한 이해의 장을 마련한 것이다.

착수보고회에서는 협회 의무가입으로 협회 차원에서 회원·건축계·국민을 대상으로 새로운 역할과 기능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우선 회원 측면의 주요 아젠다로 ▲공정거래 지원센터 ▲회원윤리 모니터링 센터 ▲회원업무지원센터 ▲회원 연수원 등이 제시됐고, 건축계 측면에서는 ▲건축시장(대가) 정상화 ▲저작권 보호센터 ▲정부 건축계 합동 협의체 ▲건축계 대변인 등 협회의 기능과 조직변화를 예고했다.

이는 연쇄적으로 본협회와 시·도건축사회, 지역건축사회 간 기존 역할과 기능상의 변화를 불러오게 된다. 때문에 본협회와 17개 시·도건축사회, 135개 지역건축사회 간 최적의 역할 협력 모델 구축이 관건이 된다.

협력모델 구성을 위해 시·도건축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1차 자료조사와 2차 심층 인터뷰, 3차 설문조사가 진행된다. 1차 자료조사를 통해 기초 시사점이 도출되면 2차 주요 시·도건축사회 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3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본협회, 시·도건축사회, 지역건축사회가 직면 가능한 역할 변화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본협회와 시·도건축사회 중심의 협력모델을 구상하게 된다.

본협회, 시도건축사회 협력모델을 위한 조사체계
본협회, 시도건축사회 협력모델을 위한 조사체계

연구에서는 10월부터 주요 시·도건축사회 심층 인터뷰를 추진한다. 인터뷰에서는 현재 수행 업무 중 공동 협력할 업무에 대한 의견, 의무가입으로 본협회가 추가적으로 기능해야 할 업무 등에 대한 의견수렴이 진행된다.

과제 수행 기관 관계자는 “시·도건축사회 조사의 내용은 의무가입이후 향후 변화할 기능에 대한 시·도건축사회의 인식변화와 후속조치의 선호도를 확인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며 “선호도 확인을 통해 변화 이슈와 핵심 서비스 구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