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급공사장 환경관리 강화방안 발표
도 자체 규정·조례 개정 추진
환경부에 법 개정도 건의
경기도는 도(경기주택도시공사 포함)에서 발주한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 건축공사장 등에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소음·미세먼지 측정기와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미세먼지 등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관급공사장 환경관리 강화방안’을 마련,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공사장 인근 주민의 소음·진동, 먼지 피해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전국 소음 민원은 14만3,181건으로 2015년 10만6,283건 대비 34%가 증가했다. 14만3,181건 가운데 공사장 소음은 10만7,794건으로 75.3%를 차지했다.
비산먼지 관련 민원도 마찬가지여서 2019년 비산먼지 민원은 4만2,120건으로, 2015년 2만2,827건 대비 84.5%나 늘었다. 4만2,120건 가운데 공사장 비산먼지는 3만9,613건으로 94%를 차지했다.
이런 사정은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2019년 경기도에 접수된 소음·진동 민원 3만864건 중 도로나 아파트 건축에 따른 소음 민원은 2만2,881건으로 전체 74%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도는 관급공사 즉 도에서 발주하는 비산먼지 발생사업장과 소음 발생 장비를 사용하는 특정공사장(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의 건축공사장 등)에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소음과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하고 실시간 그 측정치를 표출하는 전광판을 설치하도록 했다.
◆ 신규 계약공사 의무화, 준공임박·설계비 여분 없는 곳은 제외
또 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오염행위를 예방하기 위해 차량의 주요 진출입로, 공사 현장이 잘 보이는 장소 등에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도 설치하기로 했다.
올 5월 기준 진행 중이거나 추진 예정인 경기도 발주 공사는 총 156개이다. 이 가운데 비산먼지 발생사업장은 82곳으로 전체의 53%를 차지한다. 소음이 발생하는 장비를 사용하는 특정 공사장은 91곳으로 전체의 58%이다.
경기도의 신규 계약 공사는 의무화 적용을 원칙으로 하되 현재 진행 중인 공사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번 환경관리 강화방안을 최대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따라서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82곳과 소음발생 장비를 사용하는 특정 공사장 91곳 가운데 준공이 임박하거나 설계비 여분이 없는 등 불가피한 곳을 제외한 26개 공사장에 소음측정기 17대, 미세먼지 측정기 12대, CCTV 14대, 안내표지판 3건 등 46건의 환경관리 강화 조치를 적용한다. 의무화 적용을 원칙으로 하되 현재 진행 중인 공사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번 환경관리 강화방안을 최대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이번 공사장 환경관리 방안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제도화도 추진한다. 도에서 운영 중인 경기도 공사계약 관련 예규를 개정해 도에서 발주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공사에 대해서 소음, 미세먼지 측정기, CCTV 설치 등을 의무화하며, 조례를 개정해 간접적인 근거 규정도 담을 예정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비산먼지는 도민들의 생활환경을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공사장 환경관리 방안이 도에서 발주한 공사뿐 아니라 민간에도 확산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