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약 12억 원 전기 요금 절약 효과 기대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행정안전부는 2023년까지 167억 원을 투자해 ESS 구축 사업을 진행한다고 5월 19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천, 그린뉴딜 실현에 앞장서겠다는 취지다.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오는 2023년까지 서울, 과천, 고양, 춘천청사 등에 단계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를 확대, 7개 정부청사에 총 18개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야간 잉여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에 충전 후 주간에 공급하게 해 전력 이용 효율을 높이는 장치를 말한다.

행안부는 이번 사업으로 연간 전기 요금 약 12억 원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ESS를 설치하면 주간 전력수요가 분산돼 발전소 추가 건립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며 “정부청사 전력 장비를 증설하는 부담도 낮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국 7개 정부종합청사 ESS 설치 계획
전국 7개 정부종합청사 ESS 설치 계획

정부는 주간 시간에 집중되는 전력수요를 낮추기 위해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추진 중이다. 계약전력 1000킬로와트 이상의 건축물을 사용하는 공공기관은 계약전력 5% 이상의 ESS를 설치해야 한다.

행안부는 2019년 준공한 인천지방합동청사에 ESS 1개소(200킬로와트시)를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관련 구축 작업에 나서고 있다. 올해는 10월까지 세종청사 2개소(600킬로와트시), 대전청사 1개소(1600킬로와트시) 총 3개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