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부터 500제곱미터 이상 공공건축물 제로에너지건축물로 조성
경상남도는 오는 5월 ‘경상남도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을 제정 고시하는 등 녹색건축 활성화에 나선다.
경상남도(이하 경남도)가 ‘녹색건축물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 2030년까지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30.2% 감축하고, 일자리 3,000여 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종합계획은 기후위기 대응과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맞물려 녹색건축이 대두되면서 제로에너지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신재생에너지 건축설비 등 지역의 녹색건축정책 필요성이 제기돼 추진하게 됐다.
◆ 정부 시행 계획보다 1년 앞선 제로에너지건축물 조성 계획 내놔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선제적 달성 5대 추진전략과 12대 정책과제를 설정하고, 2023년부터 500제곱미터 이상 공공부문, 2025년 1,000제곱미터 민간건축물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등 건축물의 효율적 에너지 수요관리를 위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했다.
이에 맞춰 경남도는 5월 ‘경상남도 녹색건축물 설계기준’을 제정해 고시한다. 제정 고시에 따라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과 연면적 합계 2,000제곱미터 이상 일반건축물은 친환경적 에너지 절감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성능을 높이고,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경남도는 2022년부터 도 및 시군에서 건립하는 500제곱미터 이상 공공건축물을 제로에너지건축물로 조성한다. 이는 정부의 2023년 시행계획보다 1년 앞선 것으로 관련 분야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소비량이 많은 민간노후주택과 공동주택의 공용부분 중 사회적 약자들이 사용하는 경비실, 청소원 휴게실, 관리사무소 등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도 추진된다. 지난해부터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추진해 사업성과와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그린리모델링사업을 노후 민간주택으로 확대해 시행한다. 올해 하반기 수요 조사 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그린리모델링이란 에너지 소비가 많은 노후 건축물을 창호교체, 단열보강, LED 조명 등 고효율 설비로 교체함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켜 저탄소 녹색건축물로 전환하는 것이다. 기존 창호 5등급을 1등급으로 교체만 해도 에너지소비효율은 30% 이상 좋아진다.
그 밖에 경남도는 주요 정책으로 공공건축물 수소연료전지 설치사업, 도시재생 뉴딜사업 녹색도시화 추진,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을 통한 기술지원과 인재양성을 추진한다.
허동식 경남도 도시교통국장은 “이번 종합 계획으로 범정부적 기후위기 대응 정책에 부응하고, 녹색건축 실행력이 강화돼 녹색건축물 조성이 활성화 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며 “2030년 온실가스 30% 감축목표 달성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