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총 2,437세대 규모의 재개발 본격 추진
건축디자인 차별화 차원에서 전체 부지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는 노원구 백사마을이 본격적으로 재개발된다.
서울시는 노원구 중계본동 30-3번지 일대 18만6,965제곱미터 공간을 2025년까지 총 2,437세대 규모의 상생형 주거단지로 탈바꿈하는 ‘백사마을 재개발정비사업’ 시행 계획을 인가·고시한다고 3월 4일 밝혔다.
2,437세대 중 공동주택은 1,953가구이며 공공임대주택은 484가구다. 현재 기존에 살고 있던 597가구 중 3분의 2인 394가구가 이주한 상태다.
서울시는 “이번 시행계획 인가로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지난 2009년 주택재개발 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재개발 사업이 시작된 지 12년 만에 백사마을 재개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른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이 들어가는 4만832제곱미터 부지는 주거지 보전사업 형식으로 진행, 기존 주민이 다른 곳으로 내몰리는 현상을 줄이고 기존 골목·계단길·마을 지형 등을 일부 보존하기로 했다. 역사를 기록하는 마을전시관도 만든다.
나머지 14만6133제곱미터 부지에는 기존 주택을 허물고, 평균 12층 이하, 최고 20층 아파트 단지가 세워진다.
서울시는 건축디자인 차별화 차원에서 전체 부지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하고 총 28개 영역으로 나눠 건축사 15명을 배치,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건축계획을 수립하도록 했다.
‘특별건축구역’이란 주변과 조화롭고 창의적인 건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별히 지정하는 구역으로 지형과 어우러짐과 동시에 주요 경관축을 확보하는 배치로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열린 커뮤니티를 계획해 공공성을 확보하는 설계가 핵심이다.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면 건축 시 건축법에 의거한 일조권(제86조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 제한) 등 일부 규정을 배제·완화 적용받을 수 있다.
또한 주민 공동이용시설은 개방하도록 하고 단지 경계부 차단 시설물 설치를 금지하는 등 ‘소셜 믹스’, 즉 아파트 단지 내 일반분양 아파트와 공공임대 아파트를 함께 조성한다는 조건도 달았다.
서울시는 기존에 살던 주민들이 재정착 하지 못하는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원주민 재정착 제고 및 공동체 활성화 방안’도 마련 중이다. 또 고령자와 저소득층 거주자 비율이 높은 백사마을의 상황을 고려해 부담 가능한 임대주택 공급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도 준비하고 있다.
백사마을은 지난 1967년 도심 개발 과정에서 청계천·영등포 등에 살던 철거민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됐다. 1980년대 이후 다른 정착지들은 아파트 단지로 변했으나 백사마을은 1971년부터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었다.
이후 2008년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되고 이듬해 주택재개발 정비 사업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사업 시행자였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성이 낮다며 2016년 사업을 포기했다.
다시 2017년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시행자로 나섰으나 저층 위주 아파트 설계안이 선정되면서 평균 16층 이상을 원하는 주민들과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사업이 더 지연돼 왔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백사마을은 재개발로 인한 기존 거주민의 둥지 내몰림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도심 내 대규모 주택공급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상생형 주거지 재생의 새로운 모델”이라며 “다양한 유형의 재생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 · 적용해 낙후된 주거환경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