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건축정책위·녹색성장위 합동 보고대회

정부가 ‘녹색건축·제로에너지’를 위해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대통령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이하 국건위)는 녹색성장위원회와 합동으로 6월 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 국가건축정책위원회·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 중소기업 대표 등 1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녹색건축물 확산 방안에 대한 제4차 보고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국건위는 국토해양부의 ‘녹색건축물 추진성과 및 향후 활성화 방안’을 보고에 이어 ‘녹색건축 강국 도약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안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먼저 녹색건축·도시 분야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친환경건축물 인증, 주택성능등급 등 중복된 기존 건축분야의 인증제도를 녹색건축 인증제도로 통합하여 미국의 LEED처럼 우리 대표 브랜드(THE Green, Thinking Human & Environment Green)를 제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녹색건축물 보급 확대를 위한 인증제도의 효율적 운영 및 관련제도의 체계적 정비 등을 위하여 ‘(가칭)녹색건축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은 “녹색생활은 인류미래 위한 필수 과제”라고 밝히며, “과거에는 경제적 효과를 위해 에너지 절약을 했지만, 지금은 경제적 효과 이외 기후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절대절명의 과제가 우리에게 있다. 이는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 공통의 과제이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발표한 국토부의 ‘녹색건축물 활성화 추진전략’ 및 ‘그린홈 시범단지 조성계획’은 건축물 생애주기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내용으로 첫 번째, 허가단계부터 에너지 절감을 유도(‘25년까지 공동주택 제로에너지화 목표)하고, 보금자리주택을 대상으로 모범적인 실증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두 번째로 건축물 유지관리 차원에서 국민이 건축물 에너지 소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에너지 소비증명제를 도입하고, 모든 기존 건축물(660만동)의 에너지 소비정보를 DB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끝으로 재정 및 금융지원 등을 통해 2016년까지 노후 공공임대주택 28만호와 2020년 까지 노후 건축물 20만동을 ‘그린 리모델링화’로 변화를 준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금번 보고대회를 통해 유럽 선진국에 비해 다소 미흡했던 건축물 부문의 에너지 절약시책을 보다 한 차원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삼아 선진 녹색건축을 계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