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여동 설계 진행 중, ’21년 공공건축물 1,000여동 그린리모델링 추진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사업 중 하나인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이 첫 결실을 맺었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광명시와 함께 완성한 시립철산어린이집의 준공식이 12월 17일에 개최됐다.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은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그린리모델링 사업비를 지원해 에너지 성능개선(30% 이상), 실내 미세먼지 저감(75%) 등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국토부는 올해 3차 추경을 통해 한국판 뉴딜에 포함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개시했으며, 공모를 통해 전국 195개 지자체 공공건축물 862동을 선정했다. 현재 총 사업비 3,200억 원을 투입, 838동에 대한 사업을 착수해 600여 동에서 설계를 진행 중이며 연말까지 200동 이상을 완료할 예정이다. 따라서 국토부는 새해부터 본격적으로 그린리모델링을 적용한 준공 사례들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준공 첫 사례인 철산어린이집은 광명시 철산동에 위치한다. 1999년에 준공된 후 시설 노후화로 에너지 성능이 크게 저하되고 건축물 안전과 보육환경에 대한 학부모의 우려가 많았다.
이에 어린이집 개선공사를 계획했던 광명시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지원을 받아 시설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그린리모델링으로 추진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 전면 그린리모델링을 통해 단열보강, 로이복층 유리 창호, 콘덴싱보일러,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설치 등이 적용돼 사업 이전 대비 1차 에너지 소요량이 88% 이상 감소했으며 냉난방비는 78% 감소해 연간 520만 원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김현미 장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1호 완료 사업인 철산어린이집을 시작으로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사업인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의 성과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는 향후 공공부문의 의무화와 민간부문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 등 부문별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그린리모델링의 활성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