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생활에 급증하는 택배 물량…포스트코로나 대비
16일, 국토부·서울시·LH 등 생활물류 협의체 구성
앞으로 철도역사 인근 유휴부지 등 공공기관이 도심에 보유한 땅에 생활물류시설이 대거 설치된다. 이로써 중소 물류업체들의 소비자 접근성이 높아지고 택배 근로자의 근로 여건 또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한국도로공사, LH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코레일, SR, 서울교통공사, 통합물류협회 등과 함께 생활물류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 16일 백승근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을 주재로 '공공기관 유휴공간 활용 생활물류시설 확대 회의'를 진행했다.
그동안 물류업계는 도심지 인근에 생활물류 기반시설을 설치하길 희망해왔으나 신규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기존 도심 집배송센터는 좁은 도로, 부족한 주차 공간 등으로 택배 근로자의 근로 여건을 저하시키고 관련 민원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반면 택배 물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생활이 확산되면서 택배 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통합물류협회에 따르면 국내 택배 물량은 △2015년 18억 개 △2016년 20억 개 △2017년 23억 개 △2018년 25억 개 △2019년 27억 개로 연평균 성장률이 10%에 달하는 수준이다.
협의체는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해 신규 도심 내 공공시설 유휴공간을 중소업체 등 생활물류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생활물류시설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철도역사 및 차량기지 내 유휴공간, 지하 공실상가, 도로변 유휴부지 및 고가교 하부, 환승센터 등도 확보해 생활물류 시설을 설치·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