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발맞춰 설계·건설·유지보수 등 철도 전 분야 도입

한국철도시설공단(이하 철도공단)3차원 입체모델을 기반으로 설계·건설·유지보수 등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건설정보모델링) 시스템을 전면 도입한다고 519일 밝혔다.

철도공단은 그동안 노반·건축 분야에 3차원 BIM을 일부 적용해 왔으나, 최근 빅데이터 활용 및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에 발맞춰 철도사업 전 분야로 BIM 도입을 확대했다. 우선 올 하반기 설계착수 예정인 대전북연결선 등 신규 사업부터 BIM 설계를 의무화하고, 시공 및 유지보수 단계에도 BIM을 적용해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시행할 계획이다.

철도공단은 이번 BIM 도입으로 3차원 모델의 통합·입체적 설계로 시공 시 구조물 간섭 및 시공오류를 사전에 방지해 시설물 품질향상 가상시공으로 현장 위험요소 사전제거 및 안전사고 예방 공기단축 등 체계적인 공정관리 및 시설물의 통합적 이력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BIM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통합운영시스템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해 BIM을 조기에 정착시키고, ’23년부터 BIM 시스템 플랫폼을 구축해 운영할 예정이다.

김상균 철도공단 이사장은 “BIM을 철도산업 전 분야에 도입함으로써 스마트 철도건설을 실현하고, 철도가 4차 산업혁명을 앞당기는 선도적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