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균형성장 견인 목적...5개 권역생활권과 116개 지역생활권 계획 수립

상업지역 192만 제곱미터 확대 지정

서울시가 서울시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 117개 지역생활권으로 세분화해 산업, 주거, 복지 등 7개 이슈에 맞춘 지역 맞춤형 발전방안을 추진한다.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3월 8일 최상위 법정 도시계획인 ‘2030 서울플랜’의 후속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을 살펴보면, 서울 전역을 ▲ 도심권 ▲ 동북권(청량리, 상계·월계, 창동) ▲ 서북권(상암·수색, 신촌, 홍은동, 성산동) ▲ 서남권(마곡, 영등포, 여의도) ▲ 동남권(잠실, 강남 일대)으로 나누며 이를 다시 116개 지역생활권으로 세분화했다.
먼저 도심권은 내사산, 한강주변을 연결하는 녹색경관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남산, 용산공원, 한강이 연결되는 경관·조망관리에 나선다. 동북권은 상계·월계 등 대규모 택지개발 지구를 체계적으로 정비한다. 서북권은 도심, 서남권과의 연계강화를 위한 철도망을 구축하고, 홍제 의료클러스터 조성 등 어르신 복지서비스를 강화한다. 동남권은 풍납토성과 암사동유적, 아차산성을 잇는 역사문화 탐방로를 조성한다. 서남권은 영등포도심을 상업·업무·문화중심지로, 여의도도심을 글로벌 금융·업무중심으로 활성화하며, 마곡산업단지를 차세대 성장동력 전초기지로 육성한다. 또한, 서울시는 생활권계획에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특히 서울시는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 제곱미터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활력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역별 인구, 일자리, 상업지역 비율 등을 고려해 134만 제곱미터의 70% 이상을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된 동북권, 서남권에 배분했다.
서울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이 서울시의 모든 법정·행정·도시관리 등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밑그림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각종 용도지역·지구·구역, 기반시설, 도시개발사업, 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수립 때 검토·심의 과정과 실행과정중에도 생활권계획 반영상황을 진단·평가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치구 협의, 주민워크숍·설명회 등 여러 의견수렴을 거쳐 이번 생활권계획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A건축사는 “보통 도시계획전문가 MP회의 때 자문위원으로 건축사가 도시관리계획 수립에 일부 참여하지만, 이미 전문가 인력풀이 정해져 있어 건축사가 참여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진입장벽이 있는 상황이다. 당연히 건축사가 지역별 또는 도시계획 MP 회의 시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활권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http://urban.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