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호화청사가 세간의 논란이 되고 있다. 논란의 중심은 청사의 규모와 에너지 비효율성의 문제로 압축되고 있다. 청사 규모는 인구의 증가와 사회적 문화 시설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대한 대비와 수용의 문제로 그 시시비비를 가리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즉, 인구가 증가하는 수도권의 경우 인구 규모에 증가에 따른 청사 규모를 확장은 합리적 판단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행정 기능 이외에 주민 삶의 질을 위한 문화 및 예술에 대한 공간적 배려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수용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청사의 공간적 프로그램이 행정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주민을 위한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또 하나의 논란으로 에너지의 비효율성의 문제이며, 이에 대한 건축계의 자성의 목소리가 전무하다는 것이 진정한 우리의 문제일 수 있다. 과정이 어떠하였던 건축계는 이들 청사를 설계하고 심의한 당당한 주체 중 하나이며, 이와 같은 결과를 가져온 것에 대한 반성을 하여야 할 것이다. 설계를 하는 입장에서는 미적 외관 중심적 심의의 산물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또한 심의하는 입장에서는 건축가의 친환경적 설계 능력에 대한 부재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친환경이라는 시대적 파라다임을 역행하는 결과를 만들어 낸 것에 대한 우리 건축계의 자성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미진한 것이 커다란 문제이다.

물론 이와 같은 청사 논란에 대하여 사회에서는 이를 건축계의 문제로 질타하고 있지 않다. 가장 커다란 질책의 대상으로 정치가와 지방자치 단체의 행정을 나무라고 있다. 그렇다고 건축계는 이 문제에 자유로울 수 있으며, 또한 자유로와야 되는 것인가? 책임이 없으면 권한도 없다. 이 문제에 대한 질책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건축가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여야 하는 전문가로써의 사회적 지위를 인정 받지 못한다는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이 현실이라도 우리 건축가는 사회적 질타를 달게 받는 입장이 되도록 논란의 중심에 서야 할 것이다.

언제까지 사회적 아젠다에 건축가는 소외되어 있어야 하는가? 사회적 책임을 지고자 하지 않는 건축가는 사회적 권한 또한 갖지 못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논란에 적극 가담하여 건축가를 비롯한 잘못과 새로운 각오를 사회와 소통을 통해서만 사회적 입지가 강화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