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개선에 필요한 EPD(환경인증 표지) 도입

이동흡 교수 (사진=이동흡 교수)
이동흡 교수 (사진=이동흡 교수)

우리나라 건축물은 약 719만 동이며 총면적은 3,754백만㎡이다. 건설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전체 건축물의 97%를 차지하는 민간건축물의 탄소배출이 문제가 되고 있다.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자면 건물 부문의 탄소중립이 불가결하고 에너지 관리정책을 강화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녹색건축 활성화 대책과 건축가를 중심으로 한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탄소중립 시대 녹색건축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과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제로에너지 건축물 시장은 약 15조 원에서 20조 원으로 추정하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 로드맵이 완성되는 2030년에는 93조 원에서 107조 원까지 시장이 성장할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1)

정부의 2030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에는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총배출량의 7.6%로 계정하고 있다. 이 시나리오는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37%가 건물 부문에서 나온다는 보고2)보다 하향 평가된 값이다. 건설 부문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70%는 건물 유지관리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즉 운영탄소이고, 나머지 30%는 건물을 지을 때 나오는 탄소인 체화탄소이다.

지금의 건물 부문의 탄소중립 정책은 운영탄소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건물 부문 탄소배출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체화탄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건축재료의 탄소배출 데이터가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궁극적으로 체화탄소 저감을 위해 에너지 수용 감축과 에너지 표지를 명확화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세계는 건물 재료의 체화에너지와 이산화탄소의 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를 강요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미 체화탄소를 줄이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건자재 생산자와 제휴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EPD (Environmental Profuct Declaration, 환경인증 표지)’를 보급3)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체화탄소 배출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목조건축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자료=이동흡 교수)
(자료=이동흡 교수)

여기에는 건축재료가 되는 목재와 같은 천연자원의 채취로부터 제품 배송에 이르기까지 전과정평가(LCA)를 기반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탄소배출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있다. 건축재료의 탄소배출 데이터가 정립되면 자재별로 탄소배출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체화탄소 저감으로 이어진다. 구체적으로 계획 설계에서 원재료 조달부터 가공·수송·건설·개보수·폐기 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을 BIM·엑셀과 제휴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설계에 반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환경인증 표지인 EPD 적용은 공급망 전체에서 건축 자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가시화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는 건축물의 체화탄소가 설계과정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으며, 허공에 뜬 탄소배출 30%를 관리할 방법이 없다. 정부는 건축 자재의 물류 및 공급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탄소중립 건축의 표준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컨설팅에 건축사가 설계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1) 이홍일, 박용석. 3023.12. 탄소중립 시대 녹색건축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과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 2021 Global Status Report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      https://globalabc.org/sites/default/files/2021-10/GABC_Buildings-GSR-2021_BOOK.pdf
3) EPD는 제품의 환경 및 인체 건강 영향에 대해 알리는 표준으로 ISO 14025 표준과 LCA(Life Cycle Assessment)의 과학적 발자취 방법에 기반하고 있다. 번호를 검색하면 환경부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