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둘러싼 사회‧경제‧환경적 변화 속도 빨라
30년 이상 된 노후시설 재구조화
디지털화‧개방성‧복합화‧소규모 단위 등 복합공간 특성 담아내야

저출산·고령화로 청소년 인구는 1980년대를 정점으로 급격하게 감소해 2060년 청소년 인구가 전체 인구의 10% 초반 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청소년수련시설 역시 변화의 추세에 맞는 수요와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사진=뉴스1)
저출산·고령화로 청소년 인구는 1980년대를 정점으로 급격하게 감소해 2060년 청소년 인구가 전체 인구의 10% 초반 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청소년수련시설 역시 변화의 추세에 맞는 수요와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사진=뉴스1)

인구감소와 함께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경제환경적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청소년 인구는 1980년대를 정점으로 급격하게 감소해 2060년 청소년 인구가 전체 인구의 10% 초반 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청소년수련시설 역시 변화 추세에 맞는 수요와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전라북도연구원은 전북 청소년복합문화센터 추진 방향 연구에 관한 보고서를 내놨다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 전용 공간이자 활동시설이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11조에 따라 시··, ··동에 1개소 이상을 설치운영해야 한다. 전북지역 내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은 수련관 11개소와 문화의집 22개소가 있다. 하지만 현행 수련관의 51.5%가 건립된 지 30년 가까이 돼 시설이 노후화 된 상황이다. 사회·경제 환경적 변화, 청소년의 관심·흥미·요구·수요 등을 반영해 기존 청소년수련시설의 재구조화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최근 개선되는 청소년 복합공간의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 번째로 디지털화다. 공간 내에 드론, 메타버스, 빅데이터, 코딩, 디지털플레이존, 디지털스포츠존, 가상현실체험실, 메타스페이스 등을 구성하는 등 기존과 달리 디지털화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로 공간의 개방성이다. 기존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간 활용이 제한적이었던 것과 달리 최근 전환 및 재개선 되고 있는 청소년수련시설들은 청소년들의 활동 특성과 수요, 욕구를 반영해 세부 시설들을 개방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향이다. 셋째, 복합화다. 상담, 복지, 진로체험 등을 건물 안에 집적화해 복합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규모 단위로의 변화다. 청소년 인구수의 감소세에서 소규모 단위 지역 중심의 네트워크 구축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지역단위의 청소년수련시설 운영의 좋은 사례로는 싱가포르를 꼽을 수 있다. 청소년정책에 관심이 큰 싱가포르의 경우 도심 번화가 중심에 서머셋 벨트 마스트플랜(Somerset Belt Masterplan)을 운영하고 있다. 마스터플랜은 3단계에 걸쳐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청소년 거리를 만들었다. 실내 공간에서는 문화예술창작 활동이 이뤄지고, 야외 공간에서는 프리마켓, 버스킹 행사가 열린다. 공간 내에서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의 전 과정을 지원하도록 구성됐다.  

미국은 대규모의 현대식 공간과 시설의 형태를 갖는 경우도 있으나, 주된 방식은 지역사회 내에 소규모 형태로 매우 많은 청소년시설을 운영하는 것이다. 사실상 한 센터에 청소년들의 모든 욕구를 한 번에 담아내기에는 어려운 현실임을 감안할 때 매우 효율적인 접근방식인 셈. 시설도 청소년 친화적으로 설계가 되도록 엄격한 기준과 운영규칙을 가지고 있다.

2023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을 수상한 펀그라운드 진접은 기존 청소년시설의 한계를 넘어 청소년 복합공간의 지향점을 구현했다. 〔설계=신호섭 ㈜건축사사무소 신, 공동설계=신경미(프랑스 국가 공인 건축사), 사진=진효숙〕
2023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을 수상한 펀그라운드 진접은 기존 청소년시설의 한계를 넘어 청소년 복합공간의 지향점을 구현했다. 〔설계=신호섭 ㈜건축사사무소 신, 공동설계=신경미(프랑스 국가 공인 건축사), 사진=진효숙〕

지난해 한국건축문화대상 대상을 수상한 펀그라운드 진접도 기존 청소년시설의 한계를 넘어 열린 플랫폼을 만드는 시도로 평가받았다. 공간 경험의 축적이 개개인의 부와 비례하는 상관관계를 가져서는 안 된다는 공공건축의 의도가 반영됐다. 이곳도 공간을 네 개 부분으로 나눠 최근 개선 중인 청소년 복합공간의 지향점을 구현했다

연구진은 교육부의 학교복합시설, 생활 SOC 복합화 사업 등 복합 문화 공간과 시설에 대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청소년복합문화센터만의 특색을 반영해야 한다. 지역 간 균형화 및 지역별 특성화 확대, 지역 내 청소년들의 접근성·편의성·수월성 고려 확충, 청소년의 참여권 보장 및 청소년의 다양한 수요와 욕구를 수시 반영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성을 갖춰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