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미선 건축사(사진=배미선 건축사)
배미선 건축사(사진=배미선 건축사)

얼마 전까지 TV에서 제시하는 우리의 소원은 ‘2030 부산 엑스포’였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쟁에서 힘없이 무너지고 매일이 축제 같던 홍보행사는 다음을 기약하며 끝이 났다. 그런데 나의 소원은 2030 부산 엑스포가 아니었다. 그 엑스포가 개최됨으로 인해 파생되는 많은 경제적 부가가치와 문화·경제적 교류, 기업 홍보는 역시 나에게 크게 와닿는 부분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솔직히 현재 필자는 내일의 먹거리, 다음 달을 버틸 수 있는 일거리가 소원이자 염원이다. 

‘우리의 소원’인 의무가입이 법제화되었다. 변협 등을 보면서 부러웠던 것이 우리의 일이 된 것이다! 건축사들의 권익과 이익에 반하는 것을 이제는 한목소리로 맞설 수 있게 되었으며 법적인 분쟁도 협회라는 울타리 안에서 함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 정말 공인으로서의 역할과 책임도 무거워졌지만 내 뒤에 협회가 있으니 더 힘내어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다만 작년과 달라지는 매출과 주변의 힘들다는 이야기에 마음이 무거워진다. 보이지 않는 울타리보다 눈에 보이는 현실 문제가 더 커 보이는 법이니까 말이다. 감리와 업무대행 건수를 보면 매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이에 더해 그나마 부담을 줄이고자 시작한 1인 사무소의 설 자리도 자꾸 줄어들고 있다. 석면 감리, 해체 상주감리, 건축물 유지 보수 등 하나씩 배제되고 있지 않은가.

졸업하면 서울로 올라가 버리는 초년생들, 3년 수련 기간이 지나면 건축사 자격시험에 응시하고, 합격 후 개소를 하는 것이 현실이 됐다. 그러다 보니 1인 건축사사무소만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필자의 경우 직원을 구하고자 2년을 알아보다 결국 포기했다. 인근 광역시에서도 구하지 못하는 직원을 작은 시의 1인 사무소에서 구할 수 있을 리 만무하다. 

국토부에서는 건축 관련 사고들이 하나씩 생길 때 마다 규모 제한과 제재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럴 때 부당하다고 외치지 못한다면 우리의 소원인 의무가입은 무엇 때문에 그리도 목 아프게 외친 것이었는지 모를 일이다. 그리고 이제 우리의 소원은 민간 건축 설계 대가라고 한다.

나 역시 건축주와의 설계비 협의에서 제대로 된 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선으로 계약이 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 몇 번의 소모전을 치르고 나니 설계 대가의 중요성을 절실히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나의 노력을 제대로 된 대가로 받는 것은 긍지를 올리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민간 설계 대가도 수주했을 때 행복한 이야기이다. 

34대 대한건축사협회장 선거의 막이 올랐다. 세 후보의 공통적인 약속은 민간 설계 대가를 법제화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나의 소원은 더 이상 1인 사무소의 설자리가 줄어들지 않는 것이다. 캐드가 가능하다는 것만으로 비전공자를 직원으로 채용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더 이상 뺏기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