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진섭 건축사)
(사진=김진섭 건축사)

경주 대릉원은 경주시 노동동과 황남동에 있는 신라 시대의 고분군을 말하며 노동동 고분군, 노서리 고분군, 황남동 고분군, 황오동 고분군, 인왕동 고분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삼국사기에 기록된 ‘미추 이사금을 대릉(大陵)에 장사 지냈다.’라는 글귀에서 따서 대릉원(大陵苑)이라고 지었다. 대릉원이라고 하면 좁게는 천마총과 황남대총 등이 있는 황남동 고분군 쪽을, 넓게는 바깥쪽의 금관총이나 봉황대와 같은 노서동, 노동동 고분군 등을 포함한다. 규모가 크면서 경주시 시가지에 있어 접근하기 좋고, 신라 왕릉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고분도 있어 경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거의 필수로 찾는 곳이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내부 관람이 가능한 유일한 무덤인 천마총만 성인 기준 3천원의 요금을 받는다.

천년의 세월이 잠들다
대릉원은 경주 분지 한가운데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신라 당시에도 수도 서라벌 시가지 가운데에 있는 국가 묘역공원 같은 모습이었으리라 추정한다. 대릉원과 바로 옆에 붙은 쪽샘지구에서 발굴 조사해 보니, 신라 당시의 도시 기반 시설과 건물터가 대릉원 주변 지역에는 빼곡하게 차 있음에도 대릉원 일대에선 거의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시가지로 가득 찬 대도시 가운데지만 대릉원부터는 건물을 못 짓게 관리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대릉원의 무덤들은 문자로 표기된 기록이나 비석류가 일절 출토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편년을 알기는 힘들다. 무덤 주인의 이름이 밝혀진 무덤은 이사지왕이라는 명문이 발견된 금관총이 유일하다. 하지만 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 때문에 도굴이 어려워서 많은 유물들이 별 손실 없이 온전하게 남을 수 있었다.

이 유물들을 측정하여 대략 4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조성했다고 추정한다. 6세기 이후에는 왕릉이나 기타 무덤들을 대릉원처럼 서라벌의 중심부가 아닌 산이나 도시 외곽 쪽에 만들었기 때문에, 대릉원은 아무리 늦어도 7세기 초반 이후로는 더 확장되지 않았던 듯하다.

12만 6,500제곱미터의 넓은 땅에 23기의 신라시대 고분이 모여 있는 대릉원을 중심으로 그 일대에 고분 유적이 산재해 있다. 주목해서 보아야 할 고분은 제13대 미추왕릉과 거대한 표형분(쌍분)이 눈길을 사로잡는 황남대총, 그리고 고분 내부를 들어갈 수 있는 천마총이 있다.

봄날 벚꽃놀이 명소로도 유명한 미추왕릉에는 ‘댓잎 군사’ 설화가 전한다. 신라 초기에 이서국에서 신라를 침입했을 때 머리에 댓잎(대나무 잎)을 꽂은 군사들이 몰려와 그들을 물리쳤는데 군사들에게 꽂혀 있던 댓잎이 미추왕의 무덤 앞에 소복이 쌓여 있었다. 사람들은 그 후 미추왕릉을 별칭으로 ‘죽장릉’이라 불렀다.

황남대총은 두 개의 고분이 쌍봉낙타의 등처럼 남북으로 이어져 있는데, 경주에서 가장 큰 고분이다. 1970년대 발굴조사 당시 5만 7천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나왔다. 북쪽 무덤에서는 금관을 비롯한 ‘부인대’라는 여자 허리띠와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가 나왔고, 남쪽 무덤에서는 남자의 뼈와 금동관과 무기 위주의 유물이 발견되어 부부의 무덤이라 추정한다.
 

(사진=김진섭 건축사)
(사진=김진섭 건축사)

대릉원을 대표하는 또 다른 고분인 천마총은 황남대총과 멀지 않은 곳에 있다. 옥황상제가 하늘에서 타고 다닌다는 말이 지상에 내려온 듯 상서로워 보이면서도 경쾌한 천마의 그림인 ‘천마도’가 바로 이 무덤에서 나왔다. 당시 천마도가 그려진 말안장 드리개가 출토되었기 때문에 ‘천마총’이란 이름을 가졌고, 고분 내부를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무덤이 되었다. 천마총은 지름 47m, 높이 12.7m로 금관을 비롯하여 많은 유물이 나왔다.

대릉원 내의 황남대총 동쪽 포인트가 대릉원에서 인기 있는 사진 찍는 장소로 유명해졌다. 고분 사이에 목련 나무 한 그루가 서 있는 모습이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 아름답다. 원래는 역사 유적 전문 사진작가의 작품으로서 그 구도가 알려졌는데, 이후 신라 고고학과 관련된 연구 저서의 표지에도 같은 앵글에 밤에 찍은 사진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고 한참 후에 SNS를 통해서 사진 찍는 포인트로 유명해져서 줄까지 서면서까지 사진을 찍는 포인트가 되었다.

출처 : 나무위키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31-1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