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는 기후 위기, 사회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대외적 상황 속에서 공공의 건강과 안전, 복지를 추구해야 한다. 우리 시대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한 거시적인 안목이 건축사에게 요구되고 있다.

달라진 환경 변화에 미국건축사협회(AIA)탁월한 설계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건축사들과 탐색적인 질문을 공유하고 있다. 건축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사회와 공동체 구성원의 건강한 건축 환경 조성을 위해 대한건축사신문도 탐색적인 질문을 공유하며 확장된 시각을 나눠보려 한다.

마지막으로 발견을 위한 디자인을 다룬다. 준공된 건물에 담겨 있는 다양한 정보값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지 방안을 고민했다.

설계 의도대로 건축물이 구현된 뒤에도 설계자, 사용자, 운영자 간의 장기적인 관계를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지

완성된 건축물이 최초의 비전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건축 과정에 대한 경험담은 어떻게 공유될 수 있는지

건설사업 관리를 통해 얻은 교훈을 프로젝트 팀에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발견과 즐거움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

발견을 위한 디자인 Design for Discovery

건축사의 역할은 건축물을 설계하고 완성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는다. 설계와 건축 과정을 통해 배운 것은 무엇이며,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어떻게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는지 등도 생각해야 한다. 준공된 건물에는 건축 교과서에서 말하는 교훈, 성공, 기술, 개선 전략 등이 담겨 있다고 AIA는 말한다. ‘발견을 위한 디자인은 정리되지 않은 채 사라지는 풍부한 정보들을 정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AIA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정리 요소를 꼽았다. 

첫 번째로 지식 공유다. 모든 프로젝트에서 건축사는 새로운 설계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것을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구현하며 경험을 쌓는다. 그 경험은 문서화됨으로써 동료 건축사들과 공유되어야 한다. 사내 리소스 플랫폼이나 프로세스를 만드는 편이 좋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반드시 정리 되어야 하는 것은 재난 발생과 그 이후에 건물과 거주자가 어떻게 지내는지에 대한 것이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성능 향상을 위한 고민과정도 정리돼야 한다. 건축 부지의 역사, 역사적 불평등, 건축물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했는지 그 과정을 문서화 하는 것도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도움이 되는 요소다. 

두 번째로 거주자의 피드백이다. 건축물은 결국 사람을 위한 것인 만큼 실제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듣는 것만큼 중요한 게 없다. 이때 건축사는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를 위해 목록화 해야 한다. 거주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기준은 열 쾌적성, 조명, 공기질, 음향, 일광, 전망, 눈부심 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운영상의 문제,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없는지 등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공간이 설계 의도대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게 좋다.  

마지막으로 공간이 거주자에게 미치는 영향도이다. 공간은 사용자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건축사는 건물의 자재 계획 등을 향후 거주자와 함께 논의하고 이행할 수 있다. 이는 거주자를 직접 시스템 작동 방식에 참여시키고, 그 행동의 결과를 직접 인식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거주자가 공간을 소유한다는 느낌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건물 기능을 설계할 수 있다. 특히 지역사회 공공건물의 경우 건축 설계 시스템과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게 중요한 요소다.

(사진=AIA)
(사진=AIA)

미국에서 가장 큰 제로 에너지 학교인 디스커버리 초등학교(Discovery Elementary School)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긍정적인 사례다. 이 학교는 평지 보존이라는 지역사회의 바람, 레크레이션을 위한 열린 공간, 태양광 발전을 위한 이상적인 방향 등의 목적성을 충실히 수행했다. 학교의 설계에 앞서 건축사에게 중요한 요소 두 가지는 학습을 위한 즐겁고 매력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과 기후위기 상황에 대안이 되는 건축물을 짓는 것이었다

디스커버리 초등학교는 남향에 위치한 계단식 건축물이다. 운영 자금에 압박을 받는 공립학교의 상황을 고려해 태양광을 활용해 건물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했다. 건물 옥상 전체에 태양광을 설치해 에너지를 모았고, 건물 전체에 풍부한 자연채광을 살리기 위한 설계가 이뤄졌다. 삼중 단열 유리와 동일한 태양에너지를 PV패널로 저장해 전체적인 비용을 줄였다. 실내도 고충격 재활용 함량이 높은 석고 벽 보드로 구성됐다. 외부 하중을 견디기 위해 단열 콘크리트 벽 시스템과 구조용 철강에 포함된 내재 에너지를 크게 줄여 전체 재료수를 줄였다. 특히 단열 콘크리트 형태의 내력벽 구조는 냉난방 센터의 역할도 한다. 야간에 사용할 전기를 주간에 저장하는 방식을 적용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사진=AIA
(사진=AIA)

신축된 학교는 기존의 빗물과 위생 하수도 배관도 재배치했다. 사용된 물의 60%는 자연 정화 후 하천으로 방류됐다. 학교 정원에 쓰이는 물에는 저장한 빗물이 재활용되고 있다


학교의 야외 공간도 식당 공용 공간과 맞닿게 설계됐다. 관리 감독의 편의성을 높임은 물론 이동시간을 최소화해 학생들이 더 많은 야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좋은 공기 질을 유지하기 위한 모니터링도 지속적으로 이뤄진다. 학교 공간의 모든 곳은 모니터링 대상지이며 현재 학교 내 61개의 지점이 모니터링 되고 있다. 실내 공기질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는 만큼 학교 측은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지금까지 건축을 통한 보다 나은 삶을 위해 AIA가 제안하는 열 가지 프레임을 다뤘다. AIA의 열 가지 주제는 우리 삶의 모든 측면에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문제와 마주한 건축사가 고려해봐야 할 지점들을 상기하게 했다. 사람을 위한 디자인, 자연 환경 변화에 따른 디자인, 그리고 기후 위기 시대의 디자인 등이 우리 시대의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 필요한 요소인지 고민해보는 시간이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