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 600% 기준 완화해 공공기여로 녹지공간 확보
도심녹지 15% 이상 조성…종묘~퇴계로 민간재개발 추진

서울시가 제시한 종묘~퇴계로 일대 녹지생태도심 재정비사업 완료 후 조감도(사진=서울특별시)
서울시가 제시한 종묘~퇴계로 일대 녹지생태도심 재정비사업 완료 후 조감도(사진=서울특별시)

서울시가 사대문 내 용적률과 고도제한 등 건축규제를 완화하고, 공공기여로 공원·녹지를 확보하는 청사진을 밝혔다.

서울 도심의 상징적 공간을 고층 빌딩숲과 나무숲이 공존하는 ‘녹지생태도심’으로 재탄생시키는 방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고밀·복합 개발과 녹지공간 확보를 동시에 추진해 서울 도심을 대전환하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4월 21일 발표했다.

현재 서울도심 공원·녹지는 전체 면적의 3.7%에 불과하다. 고궁을 포함해도 8.5%에 그쳐 미국 뉴욕 맨해튼(26.8%), 영국 센트럴 런던(14.6%)과 비교하면 녹지율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건축물 높이(90미터 이하)와 용적률(600% 이하) 등 기존 건축규제를 과감히 완화하고, 그 대가로 얻는 공공기여를 공원·녹지로 조성해 도심 전체를 녹지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서울 도심 녹지율을 15%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시는 녹지생태도심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 실행전략으로 서울도심을 지역별 특성에 따라 ▲신규 정비구역 ▲기시행 정비구역 ▲특성 관리구역 3개 구역으로 구분했다. 각 구역에 맞는 녹지공간 확보 방안을 추진한다.

이 중 고밀‧복합개발과 대규모 녹지공간 확보가 가능한 ‘신규 정비구역’에 대해서는 ‘건축규제 완화’와 ‘녹지공간 확보’ 전략을 각각 마련해 민간 재개발을 추진한다. 선도사업으로 ‘종묘~퇴계로 일대’ 44만 제곱미터를 우선 재정비한다.

‘서울도심 기본계획’에 따라 90미터로 제한된 건축물 높이를 구역 여건을 고려해 재조정하고, 최고높이도 공공기여와 연계해 완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한다. 600% 이하(도심부 일반상업지역 기준 도심부 외 800%)로 제한된 용적률도 개방공간을 더 제공하는 경우 완화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 높이‧용적률 등 건축규제 완화해 도심개발 유도, 공공기여로 공원‧녹지 확충

종묘~퇴계로 일대 선도사업은 ‘통합형 정비방식’으로 추진된다. 그간 재개발이 진행되지 못한 구역들을 적정 규모 단위로 묶어서 개발하는 방식이다.

종묘~퇴계로 일대 선도사업이 완성되면 ‘연트럴파크’(3만4,200제곱미터)의 4배가 넘는 약 14만 제곱미터의 공원‧녹지가 조성된다.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녹지축이 완성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녹지생태도심’이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보존과 규제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원도심’을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미래도심’으로 재창조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