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지방 중소도시 특화형 재생 추진방안’ 보고서 발간

거점확산형 연계모델(자료=국토연구원)
거점확산형 연계모델(자료=국토연구원)

현재 지방 중소도시에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은 지역 특성과 무관하게 사업이 추진돼 지방 중소도시 잠재력을 반영한 재생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토연구원은 국토정책 브리프 ‘지방 중소도시 특화형 재생 추진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현재의 도시재생사업 추진방식은 대도시에서 출발해 발전·세분화돼 왔기 때문에 지방 중소도시 여건을 반영한 재생사업 추진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원주, 목포, 제천, 의성 등의 재생사업 추진실태 등을 분석한 결과, 지역 특성과 무관하게 유사사업이 추진 중이며, 지역산업과의 연계 또한 미흡하다는 것이 보고서의 설명이다.

도시 유형별 쇠퇴 특성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도시가 유사한 재생사업을 추진 중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이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보고서는 지방 중소도시 재생은 현행 모듈화된 형태를 지양하고, 지자체가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진단을 토대로 지역 특성을 살린 유연한 계획과 사업방식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은 도시재생연구센터장은 “2차·3차 산업 기반의 인구유지 도시는 외곽개발로 인한 원도심 쇠퇴가 심화되고 있다”면서 “제조업,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과 연계한 재생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차·3차 산업 기반의 인구유지 도시와 관련해서는 “원도심은 주변지역 거점 역할을 담당하므로 농업·서비스업 특화와 연계한 재생사업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 센터장은 거점공간에서 시작해 재생거점,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순으로 확장해 나가는 지방중소도시형 재생사업으로 ‘거점확산형 연계모델’을 제안했다. 이와 더불어 지방 중소도시 거점확산형 연계모델 구축과 적용을 위한 정책방향으로 전환하고 추진절차·방식, 실행체계 등의 제도개선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