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건축에 자존감이 있는가?’ 저자 오신욱이 던지는 질문

자존감건축(저자 오신욱 / 주식회사 드림빅 / 2021. 7)
자존감건축(저자 오신욱 / 주식회사 드림빅 / 2021. 7)

자존감이 보장되는 건축은 우리의 삶을 위로한다. 나는 건축이 인간의 자존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건축에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계속하여 찾고 있다.”

71일 드림빅이 출간한 자존감건축의 저자인 오신욱 건축사(.라움 건축사사무소)의 말이다.

저자가 자존감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사무소 초기 아주 작은 규모의 건축을 시작하면서부터다. 특히 예산이 넉넉하지 않은 작업을 여러 번 경험하면서 자존감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게 됐다는 오신욱 건축사. 그는 건축에서 자존감을 지킨다는 것은 건축보다 사람이 우선이다라는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한다. 작은 건축일수록 자존감을 더 채워줘야 하며, 그에 따라 나타나는 성과도 크다는 것이다.

우리 삶과 사회는 자존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 속에서 삶의 성취와 행복에 대한 사회의 기준이 물질적인 것으로 점차 고착화되어 감에 따라 우리의 자존감은 떨어지고, 과도한 수도권 바라기식 태도는 지방의 자존감마저 사라지게 하고 있다.

저자는 이 모든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키워드가 건축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건축이라는 행위와 과정을 통해 회복된 자존감 그리고 극복된 결핍과 한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또한 월내 반쪽집’, ‘초량도시민박’, ‘비꼴로’, ‘모여가’, ‘옥상라움등 저자가 설계한 건축물을 지어가는 과정을 소개하고, 그 속에서 발견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자존감을 찾아가는 건축이란 무엇인가? 저자가 오랜 기간 고민해온 내용의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건축은 도시나 지역과 단절된 지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공간이 되어 새로운 관계와 기억을 만들어주는 장소로 성장한다. 이렇게 성장하면서 자존감 있는 그 지역의 건축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자존감건축은 도시와 이용자의 공간적 관계를 맺어주는 연결체가 될 것이다. 우리는 건축을 통해서 우리가 가진 결핍을 채울 수 있고, 그것은 개인적인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집의 의미는 매우 크기 때문에,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집뿐만 아니라 집을 짓는 과정에서 얻는 가치를 통해서 자존감이 올라갈 수 있다. 그렇게 자존감을 고려한 건축을 경험하고, 이용하면서, 평소 결핍으로 억압된 것들이 서서히 풍요로움으로 변하는 것을 경험할 것이다.”(‘자존감건축’ 200~201p 에필로그에서 발췌.)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