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네 라카톤-장 필리프 바살 2021년 프리츠커상 공동수상

학창 시절 첫 만남 후, 1987년 공동사무소 설립

‘기존 건물을 절대 파괴하지 않는다’ 원칙 지키며 반세기 동고동락

“자세히 살피면 이미 있던 것들의 가치 볼 수 있어”

올해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안네 라카톤(왼쪽)과 장 필리프 바살
올해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안네 라카톤(왼쪽)과 장 필리프 바살

프리츠커 상(pritzke prize) 올해 수상자로 프랑스의 공공건축사 안네 라카톤(Anne Lacaton)과 장 필리프 바살(Jean-Philippe Vassal)이 선정됐다. 안네 라카톤은 프랑스 여성 건축사 최초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했다.

상을 제정한 미국 하얏트 재단 톰 프리츠커 회장은 3월 16일 밤(한국 시각) 두 남녀 건축사를 2021년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공식 발표했다. 재단은 두 건축사가 시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회적 건축의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안네 라카톤과 장 필리프 바살이 설계한 다목적극장
안네 라카톤과 장 필리프 바살이 설계한 다목적극장
안네 라카톤과 장 필리프 바살이 설계한 다목적극장
안네 라카톤과 장 필리프 바살이 설계한 다목적극장

1950년대 중반 태어나 10대 후반 프랑스 보르도 국립건축조경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chitecture et de Paysage de Bordeaux)에서 처음 만난 두 건축사는 그 후 오랜 기간 동안 함께 ‘지속 가능한 공공건축’을 고민하고 실천해 왔다.

‘기존 건물을 절대 파괴하지 않는다’는 원칙 아래 여러 건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은 두 사람은 첫 만남 이후 반세기 만에 ‘건축계의 노벨상’을 공동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2009년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낭트 국립건축학교 
2009년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낭트 국립건축학교 
2009년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낭트 국립건축학교 
2009년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낭트 국립건축학교 

라카톤은 1984년 보르도 몬태그네 대학교에서 도시 계획 석사 과정을 밟았고, 바살은 도시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서아프리카 니제르로 이주했다.

이 시기 라카톤은 바살을 자주 방문했다. 니제르에서 두 사람은 사막의 풍경 속에서도 자원을 아끼는 아름다움과 겸손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여유로운 삶의 자세에 영향을 받아 되도록 철거하지 않고 건축물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그들의 건축 방향을 정립한다.

‘라카톤 앤 바살(Lacaton&Vassal)’ 건축사사무소가 리모델링한 53 Units, Low-Rise Apartments

프리츠커 상 심사위원들은 이번 수상자 발표에서 “두 작가는 생태적 위기 상황을 맞은 지금 시대 상황에 대응해 모더니즘의 유산을 새롭게 갱신하는 건축적 접근법을 정의했을 뿐 아니라 투명하고 강력한 공간감과 재료의 감각을 통해 이를 성취했다”고 밝혔다. 니제르에서의 의기투합이 반세기 후 건축 역사에 남게 될 유산을 만들어 낸 것이다.

두 사람은 1987년 프랑스 파리에 ‘라카톤 앤 바살(Lacaton&Vassal)’ 건축사사무소를 차리고, 유럽과 서아프리카에서 3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보르도 주택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보르도 주택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보르도 주택
라카톤과 바살이 설계한 보르도 주택

‘라카톤 앤 바살’ 사무소는 ‘기존 건물을 절대 파괴하지 않는다’는 슬로건 아래 투명 합성수지 패널과 온실 기술 등을 이용해 낡은 공공건축물이나 주택 등 거주 공간을 저렴한 비용으로 확장하고 분산된 기능을 합치고 새로운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을 벌여 왔다.

2017년 리노베이션한 프랑스 보르도의 사회주택. 콘크리트 파사드를 철거하고 530세대에 발코니를 만들었다

낡은 건축물의 기능을 살리기 위해 사이에 새 구조물을 만들거나 기존 건축물을 연결하고 도심 속에서 자연을 만날 수 있는 생태 발코니를 창안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철거하지 않고 공동주택과 문화예술 시설을 훌륭하게 재탄생 시켰다는 평가다.

프랑스 플로라크의 라타피 하우스 (Latapie House, 1993년)

프랑스 플로라크의 라타피 하우스(Latapie House, 1993년)는 이들의 건축 정신이 잘 녹아든 대표적인 작품이다. 자연광이 집 전체에 닿는 온실형 패널 설치 기술을 적용해 거실과 주방의 실내 영역이 정원과 함께 확장된 새로운 거주 공간을 구현했다.

프랑스 파리 소재 문화 예술 공간 팔레드 도쿄 (Palais de Tokyo)
프랑스 파리 소재 문화 예술 공간 팔레드 도쿄 (Palais de Tokyo)
프랑스 파리 소재 문화 예술 공간 팔레드 도쿄 (Palais de Tokyo)
프랑스 파리 소재 문화 예술 공간 팔레드 도쿄 (Palais de Tokyo)

프랑스 파리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공간 중 하나인 팔레드 도쿄(Palais de Tokyo)의 지하 전시공간을 대폭 확충한 프로젝트도 이들이 함께 만든 결과물이다.

‘브와 르 프레트르 타워’
‘브와 르 프레트르 타워’(La Tour Bois le Pretre)

1960년대 초반 지어진 공동주택을 17층의 96가구 규모로 바꾼 ‘브와 르 프레트르 타워’(La Tour Bois le Pretre) 프로젝트에서는 기존 구조를 유지한 채 콘크리트 파사드를 제거하는 등의 방식으로 내부 면적을 늘려 더욱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만들어 냈다.

1998년 지어진 프랑스 캡 페레 소재 주택
1998년 지어진 프랑스 캡 페레 소재 주택
1998년 지어진 프랑스 캡 페레 소재 주택

프랑스 캡 페레에 있는 주택도 자연 환경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지어졌다. 두 건축사는 현장에 있던 46그루의 나무를 그대로 둔 채 집을 높은 곳에 지었으며, 집을 가로지르는 줄기를 중심으로 건축했다. 입주자들이 자연과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했다.

충분한 채광과 자연 근접성을 확보한 주거와 사무 겸용 건물

라카톤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자세히 살펴보면 이미 있던 것들의 가치를 볼 수 있다”며 “사실 그것은 관찰의 문제다. 새로운 시각을 갖고 주의 깊고 정확하게 접근해서 이미 존재하는 가치를 유지하면서 어떻게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려 한다”고 말한다.

두 건축사의 또 다른 작품들은 프리츠커상 홈페이지(www.pritzkerprize.com)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