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사무소는 프로젝트 수주 전에 대상지 주변환경 분석이나 설계내용의 프레젠테이션에 BIM을 활용해 수주율을 높일 수 있다.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는 에너지 해석이나 간섭 없는 도면 작성, 더 나아가 건축물 준공 후 유지관리업무까지를 목표로 한 전개가 가능하다.
클라이언트에게 처음 접촉하게 되는 건축사사무소 입장에서의 BIM활용은 설계업무를 수주하기 전부터 시작된다. 클라이언트와의 상담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계획내용을 간략하게 전달하기 위한 BIM모델을 작성하여 SITE 입지조건부터 3차원 CG로 계획안을 준비해 설명한다면 2차원에 비해 알기 쉬운 3차원으로 높은 이해도를 얻어낼 수 있다.
프로젝트 수주 후 활용으로는 다음 몇가지 예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최근 건물의 에너지 효율 성능이 클라이언트에게 있어서 큰 관심거리다. 이를 높이기 위한 활용이다. 건물에 자연광을 최대한으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 성능이 높은 건물을 만들기 위해 건물의 방향이나 대지 내에서의 배치, 외형 등 설계 초기단계에서의 검토가 굉장히 중요하다. 대부분의 BIM 소프트웨어에서는 건물의 위도·경도나 계절을 입력함으로써 태양광이 어떻게 건물 내로 들어오는가를 검토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 있다. 더 나아가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가늠하여 시뮬레이션 해주는 애드인 소프트웨어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도 있다. 건축사사무소는 이러한 BIM 모델과 연동하는 소프트웨어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에너지 효율성능이 높은 건물을 설계할 때 설계업무의 부가가치 상승이나 타사와의 차별화를 이뤄낼 수 있다.
둘째는 설계한 내용에 관한 입체적인 검토로 설계오차 발견, 설계변경 시 도면간의 정합성을 취하기가 용이하다. 2D기반에서는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것이지만 BIM에서는 모델을 구축하고 도면은 구축된 모델로부터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BIM모델로부터 추출된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각종 일람표 등이 BIM모델 정보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정합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설계자의 입장에서 시공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미리 고민하여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건축사가 건설프로세스 내 중심적인 위치에서 프로젝트를 이끌어나가는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셋째는 유지관리 업무 활용이다. 건축사사무소는 준공건물의 BIM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추후 개보수 등 건축물 변화 발생 시 BIM데이터를 통한 지원과 지속적인 BIM데이터 업데이트를 통해 질 높은 준공 후 서비스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것은 건축사사무소의 새로운 경쟁력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인 건축물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어 건축물 준공 후에도 유지관리에 따른 설계업무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는 사업전개도 가능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