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시장단가에 물가반영
BIM 설계모델에 대한 공사비 산정에도 활용
국토교통부가 5월 1일부터 적용되는 표준시장단가에 대해 개선된 물가 보정 방식을 적용해 공고했다. 공고된 단가에 따르면 표준시장단가 개정 시 물가 변동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비지수를 적용했고, 최근 4개월 동안의 건설물가변동분도 반영해 직전 대비 2.63% 상승했다.
표준시장단가는 건설공사 실적을 기반으로 공종별 시공내용(재료비, 노무비, 경비)을 추출해 유사 공사의 공사비 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한 공사비 산정기준이다.
그간 표준시장단가는 노무비와 재료비·경비로 분류해 노무비에는 ‘건설근로자 시중노임단가’를, 재료비·경비에는 ‘생산자물가지수’를 적용해 물가보정을 했다. 하지만 재료비·경비에 대한 물가지수인 ‘생산자물가지수’는 전 산업에 대한 물가변동을 나타내고 있어 건설현장의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국토부는 4월 20일 ‘건설기술진흥업무 운영규정’을 개정해, 재료비·경비에 대한 물가지수를 건설 물가 변동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건설공사비지수’로 전환했다.
변경된 물가지수를 적용해 개정한 표준시장단가 총 1,666개 중 1,391개 단가는 거푸집 설치, 철근 타설 등에 대한 기초단가들로, 시중노임단가 상승률 3.14%와 건설공사비지수 상승률 1.53%가 적용돼 2.62% 상승했다.
그 외 275개 단가는 암거, 집수정, 배수관 등 완성형 구조물에 대한 공사비를 편리하게 산정하도록 만든 구조물 단가들로, 물가보정 외에도 각 구조물에 소요되는 철근, 콘크리트 등의 물량·비용을 구체화해 반영했고, 그 결과 3.47% 상승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구조물 단가 적용 비중(0.35%)은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공사비를 편리하게 산출할 수 있어 BIM 확산 시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23년 5월부터 적용되는 건설공사 표준시장단가는 국토교통부 누리집(www.molit.go.kr) 또는 공사비 산정기준 관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비원가관리센터 누리집(cost.kict.re.kr)에서 열람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