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종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은 민간건축물 대비 66% 증가한 271%
정부가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2·4 대책)에서 제시한 ‘공공재건축’ 1호 ‘망우1구역’ 개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2월 22일 LH 수도권주택공급특별본부에서 서울 중랑구 망우1구역 조합과 함께 ‘공동 사업시행 약정’을 체결했다.
망우1구역은 1983년 준공 후 38년이 경과된 망우염광 아파트와 노후 단독주택들이 혼재된 사업지다. 그동안 주민들의 재건축 의지가 컸지만, 사업성이 낮아 2012년 조합 설립 후 장기간 사업 추진이 지연됐었다.
망우1구역은 주민설명회 이후 한 달 만인 지난 7월 주민동의율 74%를 확보하며 LH와 ‘공동 사업시행 기본협약’을 체결했고 지난 2일 조합 임시총회를 거쳐 LH를 공동사업시행자로 지정했다.
LH는 “심층 컨설팅으로 사업성을 개선해 주민부담을 대폭 낮추고, 주민수요를 반영한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노력으로 단기간 주민들의 호응을 얻어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망우1구역은 공공재건축 인센티브를 통해 2종(7층 이하) 일반주거지역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이 상향됐으며, 사업 추진의 최대 난제였던 단지 북측 학교 일조권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AI를 활용한 3D 설계기법을 도입해 추가적인 용적률도 확보했다.
용적률은 민간재건축 대비 66%포인트 증가한 271%를 달성했고, 가구 수 역시 기존 목표 대비 2배 가까이 많은 481가구를 건축할 수 있게 됐다. LH는 망우1구역에 대해 공공재건축 인센티브를 반영한 정비계획 변경과 시공사 선정에 조속히 착수할 방침이다.
공공재건축은 정부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공공이 재건축에 참여해 용도지역 상향, 인허가 절차 지원 등 공적 지원을 부여하는 사업이다. LH는 망우1구역과 중곡아파트 2곳에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중곡아파트는 지난 12월 19일 조합설립이 인가됐으며 2022년 초 공동사업시행자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민 설문조사에 응답한 209가구 전원이 사업추진에 동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