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9월1일~10월 29일까지 시민참여형 국가안전대진단 추진
각 지역건축사회 건축사와 함께 안전점검 실시
서울시가 노후건축물, 해체·굴토 공사장, 다중이용시설 등 2,200여 시설물에 대한 집중점검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9월1일부터 10월 29일까지 국가안전대진단을 추진한다고 8월 30일 밝혔다. 최근 사고발생 시설, 다중이용시설, 노후시설 등이 집중 점검 대상이다. 3개월 이내 점검한 시설과 코로나19 대응 시설물인 의료기관, 수련시설, 또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래방, PC방, 민간체육시설 등은 현장점검 대상에서 제외됐다.
점검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비대면 상황에 맞춰 진행된다. 시설물 분야별 전문가, 유관기관 등과 합동으로 점검하고, 접근이 어려운 곳에는 드론과 같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안전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 안전관리자문단과 지역건축사회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시설물 안전상태·유지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의견을 청취하도록 했다.
지역모임 밴드(SNS), 안전신문고, 응답소를 이용한 비대면 방식의 안전신고 활동을 추진하고, ‘안전신고 포상제’ 등을 통해 시민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다.
또 시민 스스로 내 집, 점포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도록 안전신문고 앱에서 자율 안전검검표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점검표에 따라 점검한 후 앱에서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 자율안전점검표는 안전 신문고 앱을 통하여 다운 받거나 주택 같은 경우 해당 앱에서 바로 실행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대진단 점검결과 신속하게 후속조치하고, 안전점검 결과는 ‘안전점검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공개된다. 시설물의 정보와 점검결과, 이력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한제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생활 속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위험요인을 꼼꼼히 살펴 사고를 예방하고, 생활 속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