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국 최초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 구축
건축물에 IoT 센서 부착…기울기·균열 실시간 측정해 안전관리
올 12월 46개동 대상 시범 적용, 22년 824개 노후 민간건축물로 확대

서울시 전체 실시간 IoT센서 현황(자료=서울특별시)
서울시 전체 실시간 IoT센서 현황(자료=서울특별시)

서울시가 노후 민간건축물의 안전관리에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도입한다. 이들 기술을 활용한 안전진단 플랫폼을 구축해 위험요소를 실시간 자동으로 감지하고 예방한다.

현재 서울시내에는 안전등급이 낮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관리되거나, 지은 지 30년이 경과한 노후 건축물 등이 824개(동) 있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을 구축, 오는 12월부터 가동에 들어간다고 6월 6일 밝혔다. 그동안 사람이 일일이 점검하던 현장·인력 중심의 건축물 안전관리를 넘어 디지털·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해 나간다는 목표다.

건물에 IoT 센서를 부착해 기울기·균열 데이터를 실시간 측정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이 데이터를 저장·분석해 정확성을 검증하고 구조물의 이상 변화도 분석, 위험을 감지한다.

건축물 안전관리에 블록체인과 IoT가 융합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블록체인 기술로 위·변조가 원천 차단돼 데이터의 투명한 이력 관리가 가능하고, 정확성과 보안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험 건축물 안전관리 현황(자료=서울특별시)
위험 건축물 안전관리 현황(자료=서울특별시)

플랫폼이 구축되면 서울시·자치구·건물 소유자는 PC·스마트폰으로 구조물 상태 정보, 실시간 데이터를 언제든 상시 모니터링·조회할 수 있다.

플랫폼 관리 대상은 ▲재난위험시설로 지정·관리되는 위험건축물(D·E급) ▲30년이 경과한 소규모 노후 건축물(미흡·불량 등급) ▲옹벽·인공 비탈면 같은 주택사면(D,E급)이다.

서울시는 오는 12월 건축물 약 46개(동)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고, 2022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있는 824개 노후 민간건축물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9월부터 중랑구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에 있는 약 46개 노후 민간건축물에 IoT 센서를 부착한다. 이후 11월까지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 후 12월부터 본격 운영한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서 4차 산업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도 건축물 안전 관리에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도입·적용해 신뢰할 수 있는 건축행정을 구현해 나가겠다”면서, “블록체인 기반 위험 구조물 안전진단 플랫폼이 민간건축물 안전 관리에 예측 가능성을 높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