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659억 원 투입해 대기산업 인프라 등 240여 개 사업 시행
빛그린산단 청정대기산업 클러스터 올해 착공해 실증단지로 조성
광주광역시가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녹색도시로의 전환을 위해 본격적인 노력을 시작한다.
‘탄소중립’이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양에 맞먹는 환경보호 노력을 기울여 실질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광주시는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계산하고 해당하는 양만큼 나무를 심거나 풍력이나 태양력 발전과 같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오는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올해 2659억 원을 투입해 대기산업 인프라 구축, 미세먼지 저감, 자원순환 체계 확립, 푸른 도시 조성, 깨끗한 수질관리 및 친환경 하수관리 등 사업을 추진한다.
분야별 추진 사업 수와 할당 예산을 보면 ▲환경도시기반과 자연환경보전 사업 32개(124억 원) ▲대기질 개선사업 34개(567억 원) ▲폐기물 감량 및 자원순환체계 구축사업 59개(414억 원) ▲도심 속 녹지 확충사업 72개(876억 원) ▲건강한 물환경 조성사업 32개(498억 원) ▲친환경 하수관리 사업 12개(66억 원) 등이다.
‘환경도시기반과 자연환경보전 분야’에서는 지난해 유치에 성공한 빛그린 산단 청정대기산업 클러스터를 올해 착공하고 2022년까지 대기산업 관련 미세먼지 대응 혁신기술 개발 및 실증단지로 조성한다.
지난해 12월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장록습지는 시민 참여로 보전계획을 수립하고 동시에 장록습지, 어등산, 복룡산을 연결하는 도시생태축 복원사업을 진행한다.
또 평촌마을 누리길을 올해 안에 조성하고 생태관광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해 생태자원과 문화자산을 활용한 생태관광 활성화의 기반을 구축한다.
대기질 개선 분야에서는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9010대)과 가정용 저녹스보일러(질소 산화물이 적제 배출되는 보일러) 설치 지원(7500여 대), 어린이통학차량 LPG차 전환 지원(142대), 전기차 보급(1238대) 등 시민들이 탄소 중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한다.
‘자원순환분야’에서는 안정적인 생활폐기물 처리를 위해 광역위생매립장을 단계별로 앞당겨 조성하고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 설치 등 공공 선별시설을 확충한다. 또 공동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수수료를 부과하는 공동주택에 세대별 종량제(RFID)를 지원하고 공동주택 및 사회복지시설 등에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설치를 지원해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을 돕는다.
‘녹지확충 분야’는 광주시민에게 힐링 공간이 될 도시공원과 전통문화가 연계된 관광명소인 광주생태문화마을, 산림복지 인프라 확대를 위한 시립수목원 조성 등 대규모 녹지를 조성한다. 동시에 자투리땅을 활용한 녹지 한 평 늘리기 및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녹도 등 소규모 녹지 조성을 병행해 초록으로 충만한 광주를 만든다.
‘물관리와 하수관리 분야’는 시민참여형 광주천 가꾸기 사업과 연계해 광주천 아리랑 문화물길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노후 하수관로 정비, 하수처리장 노후 악취방지시설 개선 등을 동시에 시행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
이 밖에도 시민과 함께할 때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는 환경정책으로 녹색제품 보급 촉진사업, 녹색생활 실천 활성화 사업, 저탄소 녹색아파트 조성사업, 탄소포인트제 운영 등의 사업들을 통해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 확산을 유도한다. 시민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이론부터 실천까지 망라하는 교육기회를 제공할 기후환경플랫폼도 구축한다.
박남주 광주광역시 환경생태국장은 “청정대기산업 인프라 구축, 아리랑 문화 물길 조성, 시립수목원 조성,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동아시아 플랫폼 건립 등 굵직굵직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며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동시에 시민 모두가 건강한 환경에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사업들을 발굴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