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방식에 현대적 기법 적용 - 기단

한옥의 진화, 그 다양성에 대하여 ⑫

2016-11-17     천국천 편집위원

한옥의 특징 중 하나인 기단은 과거 움집과 고상가옥의 장단점을 바탕으로 난방(구들)의 발달을 가져왔으며, 반대로 기단의 발생은 구들을 발달시키는 역할을 하여왔다.
주요 기능과 역할로는 건물의 하중을 지반에 고루 전달해주는 기초로서의 역할, 방습과 통풍, 처마와 함께 일사량을 조절하는 등 이러한 기단의 역할은 건물이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적인 측면에서 특히나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복에 고무신과 갓을 써야 선비로서의 모습이 완성되듯 한옥에서의 기단은 디자인적으로도 공간의 위계질서와 건물의 전체적인 비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기단의 종류는 쌓는 재료와 방법에 따라 토축기단, 장대석기단, 자연석기단, 가구식기단, 혼합식기단 등으로 구분하며 쌓는 기법도 다양하다.
현대한옥에서 기단의 기능은 과거 기초로서의 역할보다는 의장적인 측면이 강하다. 콘크리트 기초로 구성되면서 건물몸체에 달아매는 방식으로 축조순서도 과거와 반대가 되어 어떠한 공정에도 현장여건에 따라 언제든 설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을 감안한 판석이나 타일시공방법 등 다양한 시공법이 생겨났으며 의장적으로도 큰 거부감이 없다.
기단상부 바닥면의 마감도 방전이나 강회다짐으로 해왔던 것이 유지관리나 시공성이 용이한 현대재료의 발달로 다양한 접목이 가능하게 되었다.
설계나 감리 시에는 기단내밀기와 처마내밀기(5치~1자), 지붕의 형태(박공)를 확인하여 낙수가 기단위로 떨어지지 않는지 검토하여야 하며, 필요시 빗물받이(홈통)를 설치하거나 기단상부의 구배를 충분히 주어 빗물로부터 목재를 보호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