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재생 13곳 우선 선정, 주민참여 중심으로 본격화

2015-12-01     장영호 기자

 

서울특별시 도시재생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과거 일률적인 전면철거 방식이 아닌 계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주민이 참여해 지역만의 정체성을 살린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11월 18일 도시계획위원회심의에서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사업대상지는 창신·숭인, 서울역 일대, 창동·상계, 가리봉, 세운상가, 장안평, 해방촌 등 13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다.
서울역 역세권 일대는 국제적 관광·문화 허브로, 창동·상계 일대는 수도권 동북부 경제중심지로 계획을 세웠다. 장안평 일대는 자동차 유통산업 수출메카로, 해방촌 일대는 남산과 다문화를 활용한 지역의 명소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또 성수 1,2가동 일대는 토착 수제화 산업활성화 및 주거환경 개선을 해나갈 예정이다.
이 들 지역은 4~5년에 걸쳐 최대 100~500억 원 규모로 지역역량강화사업, 앵커시설 확충 등 마중물 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받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지원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실행이 준비된 지역부터 우선 지원하며, 단계별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차등지원을 원칙으로 한다”며 “2017년까지는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도모델을 통한 행정과 추진주체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2017년부터 2020년까지는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시스템 정착, 2020년부터 2025년까지는 지속가능한 재생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향후 10년간 '서울형 도시재생' 정책수립의 기본방향이 된다. 10년마다 수립되며 필요한 경우 5년마다 재정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