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건설·주택·부동산 경기, ‘제한적 회복세’ 전망
건설산업연구원, ‘2026 건설·주택·부동산 경기 전망’ ‘9·7 주택공급 확대방안’ 영향, 공공부문 발주 확대 기대 인허가 연간 46만 호 예상, 전체 공급 총량 증가에는 유보적
2026년도 건설수주의 완만한 회복과 건설투자의 소폭 개선을 전망하는 자료가 발표됐다. 건설산업연구원은 ‘2026 건설·주택·부동산 경기 전망’을 통해 내년도 건설경기를 비교적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건설산업은 국가 경제의 근간이자, 국민의 삶을 제고하는 핵심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공사비, 부동산 PF 부실·자금조달 위축, 생산성 저하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구조적 위기에 봉착했다. 특히 2022년도 건설수주가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건설수주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다만,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의 누적 수주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연구원은 민간 수주의 증가, 건축 건설수주의 증가 등을 상승세의 원인으로 봤다. 수주 회복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건축 착공이 감소해, 건설수주와 건축착공 면적 간 괴리가 심화됐다.
그럼에도 연구원은 2026년도 건설 경기를 다소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공공부문 발주 확대, 정책적 지원 기조, 사업 인프라 투자 확대, 금융 여건 개선 기대 등의 이유에서다. 특히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총 135만호 규모의 신규주택 착공을 추진하는 만큼, LH 발주 물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고금리, PF 불확실성, 규제 등으로 민간 투자 심리가 위축됐지만, 정비사업과 신산업 기반의 투자 수요가 증가한 점도 제한적 회복세를 전망하는 이유다.
건설수주 역시 전년 대비 4% 증가한 231.2조원으로 전망됐다. 더불어 2026년 공공 수수주의 확대가 전체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됐다. 2026년 건설투자도 전년 대비 2% 증가한 270조원으로 전망됐다. 착공 지연에 따른 건축 투자 부진이 이어지지만, 정부 공사 물량의 증가로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부동산 경기 역시 내년도 공공부문의 인허가 계획(연간 47만호 예상)이 2025년도(연간 44만 호)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부문은 2025년 상반기부터 인허가 물량이 재개되는 추세였고, ‘2025년 주거종합계획’에 따라 전국 15만 호 인허가 계획이 제시됐다. 공급 부족에 대한 정책 시그널이 명확한 만큼 실제 인허가 물량도 직전 고점인 7.8만 호를 초과한 9만 호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연구원은 2026년 이후 9·7 대책에 따른 공공부문 추가 착공이 예정돼 있으나, 이는 민간이 수행하던 일부 물량을 공공이 분담하는 형태인 만큼, 전체 착공 공급 총량의 증가는 제한적으로 판단했다.
민간 부문도 수도권 주택 수요 누증과 정책 요인으로 기존 주택 매매가 어려워짐에 따라 수도권 중심의 인허가 확대를 예상된다. 특히 2026년에는 PF 사업장 정리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이어지면서, 사업 추진 여건 개선에 따른 긍정적 신호가 작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현재 건설 산업은 단순한 경기 침체 국면을 넘어 저성장, 고비용, 고위험 구조가 누적된 구조적 위기로 인해 산업 체질 전화의 기로에 위치해 있다”며 “미래를 위한 중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택시장 역시 복원력, 지역 균형, 혁신 등을 통해 구조적으로 주택시장의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