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차소영 건축사 “계약·과업에 대한 구체적 법령과 지침, 제대로 이행되길”
“도시 곳곳에 ‘어반차’의 고민과 진심을 담은 건축 흔적을 남길 수 있다니 상상만 해도 설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차소영 건축사는 사무소를 개소한 도시 창원을 이해하고, 경상남도 내 다른 도시를 방문하는 도시의 수가 늘어나면서 사무소의 성장을 느낀다고 말한다. 도시와 관련된 일은 무엇이든 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출발한 어반차(Urban_Cha) 건축사사무소의 지향성과 방향성은 무엇인지 이야기를 들어봤다.
Q. 건축사사무소 개소 소감과 에피소드가 궁금합니다.
어반차(Urban_Cha) 건축사사무소는 ‘도시와 관련된 일이라면 무엇이든 해보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입니다. 건축설계는 도시의 마스터플랜부터 작은 구조물 계획까지 다양한 업무가 있기에 범위를 한정 짓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2022년 건축사 자격을 취득한 뒤 남편의 고향인 경상남도 창원으로 내려와 사무소를 개소했습니다.
개소 이후부터 줄곧 도시 곳곳에 ‘어반차’의 고민과 진심을 담은 건축 흔적을 남길 수 있다니 상상만 해도 설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다양한 업무를 진행하며 창원에 익숙해지고 경상남도의 다른 도시들도 하나하나 알아가고 있습니다. 하동, 의령, 거제, 김해, 진주 등등 방문하는 도시가 늘어날 때마다 사무소의 작은 성장을 느낍니다.
어반차와 얽힌 에피소드가 하나 있습니다. 개소한 뒤 신입 건축사로 인사를 다닐 때 ‘어반차’라는 이름에서 직관적인 성격이 보인다는 이야기를 해주신 건축사님도 계셨습니다. 명함에 적힌 사무소 이름에서도 건축사의 성격이 보인다는 말이 새삼 신기했고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 것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 것도 단순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어반차는 프로젝트마다 주어진 대지에 충실히 고민을 거듭해 기본이 튼튼한 공간과 건축물을 만들려고 합니다.
Q. 건축사로서 어떤 꿈과 비전이 있는지, 건축사협회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제가 바라는 삶의 모토가 ‘조금이라도 더 나아가자’입니다. 매 순간 최선과 진심을 다해 다음으로 잘 넘어가는 것이 저의 바람입니다. 건축사로 일을 하면서도 주어진 순간에 최선을 다하고, 아쉬운 부분을 보완한다면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조금이라도 더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야말로 사회의 구성원이자 건축사로서 책임과 사명을 다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건축사협회는 적극적으로 회원 간의 소통의 장을 만들고 권익 보호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협회가 모든 회원의 구심점이 될 수 있게 소수가 아닌 모든 회원들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협회 활동에 목소리를 내고 행동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것은 협회에 바란다기보다 회원인 우리 건축사 모두에게 바라는 점입니다.
Q. 업계에 몸담으면서 느낀 애로사항, 업무 시 불편사항 등 제도적 개선점을 제시한다면?
모두가 기본에 충실했으면 좋겠습니다. 계약 및 과업에 대한 구체적 법령과 지침이 있지만 그것대로 진행하는 게 어렵다는 것을 매번 느낍니다.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건축사의 귀책사유가 아님에도 용역비 증가 없는 계약 연장이 빈번합니다.
건축사는 과업지시서에는 없는 무리한 추가 업무 요구를 거절할 수 없는 ‘을’의 위치에 있습니다.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 계약금액의 상한선으로 무리하게 용역비 삭감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제도적 개선보다는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대로 제대로 이행되기를 바랍니다.
Q. 앞으로의 계획과 선·후배 등 동료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건축사로서 저는 첫걸음을 내딛는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두려움 없이 도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이를 통해 경험의 폭과 저의 역량을 넓히고 싶습니다. 건축에 대한 이해와 깊이가 깊어지면 저만의 철학도 자연스럽게 건축물에 담기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유연하고 넓은 사고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도전해 사람과 사회, 도시에 도움이 되는 건축사가 되고자 합니다. 건축 경기가 어렵습니다. 어려운 시기지만 건축사분들 모두 지혜롭게 어려움을 극복해낼 것이라 믿습니다.